갯까치수염은 다육성의 2년생 초본 자생식물로서, 제주도, 울릉도를 비롯하여 남해안 지역에서 자라며 자생지의 환경에 맞게 내염성이 크다는 특징이 있고,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며 관상가치가 높다. 관련 문헌을 보면 발아조건과 개화조절에 대한 연구만 보고되었고 그 중간단계인 재배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여 대량생산을 위한 공정육묘법 개발의 일환으로 이 실 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플라스틱온실 내에서 발아시킨 1cm 전후의 묘를 50, 128, 200구 트레이에 이식하여 한국원시표 준액(N-P-K-Ca-Mg, 15-3-6-8-4)을 각각 권장 EC농도의 0, 0.5, 1, 2배 농도로 매일 5분간 순환식으로 저면 관수하여 6주간 재배 후 초장, 근장, 엽수, 뿌리수, SPAD, 생체중, 건물 중을 측정하였다. 갯까치수염 생육은 플러그 셀 크기 50셀에 서 생육이 가장 높았다. 양액농도에 따른 갯까치수염의 생육 은 0.5배액에서 초장과 근장의 수치가 가장 높았으며, 모든 생육지표가 양액 농도변화에 따른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 타났고 실질적인 총 생산량의 지표라고 할 수 있는 지상부와 지하부의 건물중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결과가 나온 것으 로 미뤄 육묘단계에서 양액의 농도가 셀 크기보다 갯까수치염 의 묘 생육에 더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갯까치수염의 조직 충실도 면에서 0.5, 1, 2배액의 200구에서 가장 높은 결과값 들이 나왔다. 결과적으로 기존 원시표준액에 비해 생장에 유 리한 결과를 보이며 비료도 절약할 수 있는 0.5배 양액처리조 건이 갯까치수염 육묘 재배에 더 효율적이였다.
Spoon leaf yellow loosestrife is a succulent biennial plant that grows in the southern coastal area, including Jeju Island and Ulleung Island. In the relevant literature, only studies on germination conditions and flowering control have been reported, but research on cultivation, the intermediate stage, is not reported. Therefore,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velop a plug seedling method for mass production. In the experiment, around 1 cm seedlings that germinated in a plastic greenhouse were transplanted into 50-, 128-, and 200-hole trays, and the Korea Horticultural Experimental Station’s standard solution (N-P-K-Ca-Mg, 15-3-6-8-4) was sub-irrigated for 5 min/day at 0, 0.5, 1, and 2 times the concentration, respectively. Plant height, root length, number of leaves, number of roots, SPAD, fresh weight, and dry weight were measured after 6 weeks. The growth of Spoon leaf yellow loosestrife was highest at a plug cell size of 50 cells. The experiment showed that all growth indices varied significantly with the change in concentration. However, cell size significantly affected plant height, root length, number of leaves, number of roots, SPAD, and fresh root weight, but not the dry weight of the shoot and root, which are considered major indices for total production. In terms of the Compactness Index of Spoon leaf yellow loosestrife, the highest values were 2.63, 2.42, and 2.29, in 200 cells with 0.5, 1, and 2 times the concentration. Thus, the concentration of the nutrient solution seems to have a greater effect than cell size during the seedling growth stage of Spoon leaf yellow loosestr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