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음향지수를 활용한 도시공원의 사운드스케이프 특징 분석1a - 남산 도시자연공원 사례 연구 - Analysis of Soundscape Characteristics of Urban Park Using Acoustic Indices - A Case Study of Namsan Urban Natural Park, Seoul -

장병우, 고동욱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655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38권 제4호 (2024.08)
pp.405-415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도시공원에서 발생하는 생물음향은 도시의 전반적인 소리 다양성을 높여 조화로운 음환경을 조성하고 사운드스케이 프의 균형을 유지시킨다. 그러나 현대 사회의 급속한 도시화 과정으로 인해 소음이 증가하면서 도시공원의 음환경이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남산 도시자연공원을 대상으로 사운드스케이프를 분석함으로써 도시공원의 음환경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접근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음향자료는 자율형 녹음장비를 이용하여 서울 남산도시공원 의 4개 시설지구에서 2021년 8월부터 1달간 연속으로 수집하여 총 2,784시간의 자료를 획득하였다. 또한 사운드스케이 프 변동성, 음향 다양성, 생물음향 발생정도, 그리고 인위적 소리에 의한 교란을 나타내는 음향지수(ACI, ADI, BI, NDSI)를 이용하여 각 지구에서 시간 흐름에 따른 사운드스케이프 특징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생물음향 발생과 관련된 음향지수는 지역 간 차이를 보였으나 그 외 대부분의 지수는 인위적 소리의 영향으로 인해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특히, 생물활동이 높은 시간이라도 인간의 활동 또한 많은 시간대에는 지역별 차이가 좁혀졌다. 이를 통해 도시공원의 사운드스케이프 특징 분석을 위해서는 음향지수의 소리 반영 특성을 고려하고, 여러 지수를 함께 활용하는 복합적 접근법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사운드스케이프 기반의 도시생태계 건강성을 평가하는 기초자료 를 제공하고 나아가 복잡한 도시공원의 음환경을 모니터링하는 데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bioacoustics generated in urban parks contribute to the overall sound diversity of a city, creating a harmonious acoustic environment and maintaining the balance of the soundscape. However, due to the rapid urbanization process, the acoustic environment in urban parks is continuously deteriorating due to increased noise. In this study, we present an approach to monitoring the acoustic environment of urban parks by analyzing the soundscape of Namsan Urban Natural Park in Seoul. Acoustic data were collected continuously for one month from August 2021 in four facility districts of the study site using autonomous recording units, and a total of 2,784 hours of sound material were obtained. We also compared soundscape characteristics over time in each district using acoustic indices (ACI, ADI, BI, NDSI) representing soundscape complexity, acoustic diversity, degree of bioacoustics, and anthropogenic disturbance. The results showed that acoustic indices related to bioacoustics varied between districts, but most indices showed similar variation patterns due to the influence of anthropogenic sounds. In particular, regional differences closed during periods of high bird activity but not during periods of high human activity. We suggest that considering both acoustic characteristics and multiple acoustic indices is necessary for managing the soundscape of urban par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essential data for assessing the health of urban ecosystems based on soundscapes and to be used for monitoring the acoustic environment of urban parks.

Table Content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2. 음향 모니터링 계획
    3. 음향지수 분석법
결과 및 고찰
    1. 24시간 동안의 음향지수 변동 결과
    2. 생물활동 시간대에서의 음향지수 변동 결과
    3. 종합 고찰
REFERENCES
Author
  • 장병우(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산림자원학과 박사과정) | Byung-Woo Chang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ookmin University, 77 Jeongneung-ro, Seongbuk-gu, Seoul 02707, Korea)
  • 고동욱(국민대학교 산림환경시스템학과 교수, 국민대학교 탄소흡수원 특성화 대학원 교수) | Dong-Wook Ko (Department of Forest, Environment, and Systems, Kookmin University, 77 Jeongneung-ro, Seongbuk-gu, Korea, Forest Carbon Graduate School, Kookmin University, 77 Jeongneung-ro, Seongbuk-gu,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