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자연공원 재계획에 따른 공원구역 해제가 사유지 지가와 건축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Exclusion from Natural Park Districts by Park Re-planning on Prices and Construction Activities of Private Lands

홍성운, 조우, 성찬용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655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38권 제4호 (2024.08)
pp.416-425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본 연구는 자연공원 재계획에 따라 수행된 공원구역 해제가 사유지의 지가변동과 건축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 기 위해 수행하였다. 연구는 설악산국립공원과 남한산성도립공원, 천마산시립공원 내 사유지를 대상으로 수행하였고, 공원 재계획에 따라 공원 구역에서 해제된 지역과 존치된 지역 내 사유지의 재계획 전후 10년간 지가변동과 건축행위 변화 추세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 자연공원 모두에서 공원구역 해제 후 사유지 지가가 상승하였다. 존치지역보다 해제지역의 지가변동률이 가장 높았던 공원은 천마산시립공원이었고, 설악산국립공원도 존치지역보다 해제지역의 지 가변동률이 높았다. 반면 남한산성도립공원은 존치지역과 해제지역의 지가변동률에 큰 차이가 없었는데, 이는 도립공 원은 국립공원만큼 토지이용규제가 심하지 않아 해제 이전에도 어느 정도 개발이 이루어졌던데다, 해제 이후에도 여전히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해제에 따른 초과 개발 효과가 크지 않았기 때문이다. 공원구역 해제 전후 건축된 건축물의 규모를 비교해 보면, 대체로 공원 구역에서 해제된 지역의 건축 규모가 증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신축 건축물의 높이가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건폐율과 용적률 또한 증가하였다. 단, 국립공원을 제외한 도립공원 과 시립공원의 경우 건폐율과 용적률 증가가 크지 않았는데, 이는 도립공원과 시립공원은 해제 이전에도 어느 정도 개발이 이루어져 있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위 결과를 종합하면, 우리나라 자연공원 제도는 공원 내, 특히 국립공원 내 사유지의 재산권을 심각하게 침해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갈등은 자연공원 확대나 신규 공원시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사유지의 매수예산 확보로 국유화 추진, 지역 활성화를 고려한 지역과 협력한 공원시설 설치와 이용 활성화 방안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정책 개발이 요구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nges in land prices and building construction activities before and after exclusion from park district as results of natural park re-planning. Seoraksan National Park, Namhansanseong Provincial Park, and Cheonmasan County Park were selected as study areas, and prices and construction activities were compared between areas remaining in and areas excluded from park districts for ten years after park re-planning. Land prices increased in all three study parks. The largest difference in land prices between remaining and excluded areas occurred in Cheonmasan City Park. Land price increased more in excluded than remaining areas in Seoraksan National Park. Unlike these two parks, the changes in land prices were not much different between remaining and excluded areas in Namhansanseong Provincial Park, which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s that 1) provincial parks were already developed to certain level even before the exclusion due to its less stringent land use regulation than national parks, and 2) that Namhansanseong Provincial Park was also designated as Restricted Development Zone that has similar land use regulation level to natural parks. Comparison between building density measures before and after exclusion shows that development density generally increased after the exclusion. Building heights mostly increased during 10 years after the exclusion. Building to land ratios and floor area ratios also increased. However, building to land ratios and floor area ratios increased only slightly in Namhansanseong Provincial Park and Cheonmasan City Park, suggesting that in provincial and city parks, land development already occurred as a result of less stringent land use regulation. In conclusion, a national park system significantly restricts property right in natural parks, especially in national parks, which make it difficult to expand existing natural parks and/or establish new natural parks. A remedy for resolving problems related to private lands, such as increasing budget for purchasing private lands and introducing park facilities for local community is urgently required.

Table Content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2. 분석방법
결과 및 고찰
    1. 공원 재계획에 따른 지가변동
    2. 공원 재계획 후 건축물 변화
    3. 결론
REFERENCES
Author
  • 홍성운(㈜케이종합건설) | Sung-Woon Hong (K General Construction Co., 1521 Chiakro Wonju, Korea)
  • 조우(상지대학교 조경산림학과 교수) | Woo Ch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Forest Science, Sanigji Univ., 83 Sangjidaegil Wonju, Korea) Corresponding author
  • 성찬용(한밭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 | Chan-Yong Sung (Dept. of Urban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 125 Dongseo-daero, Yuseong-gu, Daejeon-si, 34158,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