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스트로메리아(Alstroemeria)는 알스트로메리아과(Alstroemeriaceae) 에 속하는 단자엽 식물로,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절 화 작물이다. 국내에서도 재배되는 대부분의 품종은 수입묘로, 비싼 로열티를 지불하고 있어 국내 품종 육성의 필요성이 제기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정 전 장벽 타파 방법 중 하나인 화주절단수분법을 알스트로메리아에 적용하여 자가수분을 통 한 착과율과 종자 결실 수를 파악하여 화주절단수분법의 가능성 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그 결과 착과율은 무 절단, 20% 절단, 50% 절단, 90% 절단, 100% 절단에서 각각 80%, 60%, 30%, 10%, 0%로 나타났으며, 처리구별로 수분 전과 수확 후 자방의 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종자 결실 수는 무 절단, 20% 절단, 50% 절단, 90% 절단, 100% 절단에서 각각 22개, 10개, 3개, 1개, 0개로 나타났다. 자방 당 종자수는 2.2개 1개 0.2개, 0.1개, 0개로 확인되었다. 이 실험결과를 바탕 으로, 자가수분을 통한 화주절단수분법으로는 자방 당 종자 수 의 증대를 기대하기 어렵지만, 자가불화합성 계통 또는 종간교 배를 통한 품종 육성 시 화주절단수분법이 새로운 품종 육성에 활용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lstroemeria spp, a monocot plant belonging to the family Alstroemeriaceae, is a globally popular cut flower crop. Most of the cultivars grown domestically are imported, and high royalties are required, highlighting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domestic cultivar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the cut-style pollination method, a technique commonly used to overcome pre-fertilization barriers, by applying it to Alstroemeria, and assessed the fruit set ratio and seed yield through self-pollination and cut-style pollin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ruit set ratios were 80%, 60%, 30%, 10%, and 0% for the non-cut, 20% cut, 50% cut, 90% cut, and 100% cut treatments, respectively. Additionally,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ovary size among the treatments, either before pollination or after harvest. The number of seeds produced was 22, 10, 3, 1, and 0 for the non-cut, 20% cut, 50% cut, 90% cut, and 100% cut treatments, respectively. The number of seeds per ovary was confirmed to be 2.2, 1, 0.2, 0.1, and 0, respectively. Based on these experimental results, it is challenging to expect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eeds per ovary through cut-style pollination with self-pollination. However, the cut-style pollination method may be useful in breeding new cultivars, especially in overcoming pre-fertilization barriers in self-incompatible lines or during interspecific hybrid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