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MaxEnt 모형을 이용한 서울시 너구리 출몰 예측 및 환경 요인 분석 Prediction of Nyctereutes procyonoides Occurrence and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s in Seoul Using the MaxEnt Model

김민경, 구슬기, 한창욱, 이상규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762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38권 제5호 (2024.10)
pp.477-489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본 연구는 MaxEnt(Maximum Entropy Moedl) 모형을 이용하여 서울 도심 지역에서 너구리(Nyctereutes procyonoides) 출현 지역을 예측하고, 너구리 출몰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수집된 서울시 야생동물센터의 구조 기록을 사용하였다. 토지 피복, 도로 면적, 경사도, 먹이원까지의 거리, 인구 밀도,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수역까지의 거리, 초지 면적을 환경 변수로 채택하여 가장 예측력이 높은 모델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너구리 출몰 가능성이 높은 지역은 초지와 나지였고, 도로 밀도가 낮은 지역(<20%)에서 출몰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또한 너구리는 경사가 완만하고(1.7˚), 먹이원에 가까우며(26.78m), 인구 밀도가 낮은(21.70명 /ha) 지역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다른 요인으로는 낮은 식생 밀도(NDVI 0.17), 하천과의 근접성(32.26m), 넓은 초지 지역(31.14%)에서 너구리가 출몰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측되었다. 서울 전역 중 약 65.42㎢(10.96%)가 잠재적인 너구리 발생 지역으로 확인되었으며, 주요 지역은 하천 주변, 산림 경계부, 도시공원 및 인근 초지와 농경지 주변이었다. 이 중 28개 지역(송파구 6개, 강서구 5개, 강남구 4개, 강동구 3개, 서초구 3개, 광진구, 노원구, 동대문구, 동작구, 마포구, 은평구, 중랑구 각각 1개 지역)이 너구리 발생 확률이 가장 높은 곳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시민과 너구리의 공존 방안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이를 통한 도시생태 전략 수립의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predict the occurrence areas of raccoon dog(Nyctereutes procyonoides) in Seoul’s urban regions using the MaxEnt(Maximum Entropy) model and to analyze the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their presence.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rescue records collected by the Seoul Wildlife Center from 2018 to 2022. Environmental variables such as land cover, road area, slope, distance to food sources, population density,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distance to water, and grassland area were selected to create the most accurate predictive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raccoon dogs are more likely to appear in grasslands and barren lands, particularly in areas with low road density(<20%). Additionally, raccoon dog occurrences were more probable in areas with gentle slopes (1.7°), close to food sources (26.78m), and low population density(21.70 people/ha). Other significant predictors included low vegetation density(NDVI 0.17), proximity to rivers(32.26m), and large grassland areas(31.14%). Approximately 65.42㎢(10.96%) of Seoul was identified as potential raccoon dog occurrence areas, with key regions located around rivers, forest edges, urban parks, and adjacent grasslands and farmlands. Among these, 28 specific areas (6 in Songpa-gu, 5 in Gangseo-gu, 4 in Gangnam-gu, 3 in Gangdong-gu, 3 in Seocho-gu, and 1 each in Gwangjin-gu, Nowon-gu, Dongdaemun-gu, Dongjak-gu, Mapo-gu, Eunpyeong-gu, and Jungnang-gu) were identified as having the highest likelihood of raccoon dog occurre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essential data for developing strategies to promote coexistence between citizens and raccoon dog, and can serve as a foundation for formulating urban ecological strategies.

Table Content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너구리 출현 자료
    2. 환경변수
결과 및 고찰
    1. 서울시 너구리 출몰 예측
    2. 너구리 출몰과 환경요인 변수 간의 관계
    3. 서울 도심지 내구리 출몰 지역 도출
REFERENCES
Author
  • 김민경(서울연구원 지속가능연구실 연구위원) | Min-Kyung Kim (Division of Urban Environment Research, Seoul Institute, 57 Nambusunhwan-ro 340-gil, Seocho-gu, Seoul, Korea) Corresponding author
  • 구슬기(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 | Seul-Gi Koo (Dep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Ewha Womans Univ., 52, Ewhayeodae-gil, Seodaemun-gu, Seoul, Korea)
  • 한창욱(한국생물자원연구소 연구소장) | Chang-Wook Han (Korean Bioresources Research Center, 519, Gyeongin-ro, Sosa-gu, Bucheon-si, Gyeonggi-do, Korea)
  • 이상규(한국야생동물 생태연구소 연구원) | Sang-Kyu Lee (Korea Wildlife Ecology Institute, 281 Haengsin-ro, Deogyang-gu, Goyang-si, Gyeonggi-do,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