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생 수수꽃다리속(Syringa) 식물의 정원수 활용을 위한 기 초 광생리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동일한 재배환경에서 수 수꽃다리속 4종(버들개회나무, 수수꽃다리, 털개회나무, 섬개 회나무)의 광-광합성 반응과 세포 내 CO2 농도-광합성 반응을 측정하였다. 낮은 광도 환경에서 생육이 적합한 털개회나무 (29.5~281.3μmol·m-2·s-1), 섬개회나무(30.2~404.0μmol·m-2·s-1), 수수꽃다리(31.4~680.7μmol·m-2·s-1), 버들개회나무(26.3~794.3 μmol·m-2·s-1) 순으로 광-광합성 반응을 보였다. 버들개회나무 는 소교목 또는 관목성으로 자라는 환경 변화에 적응성이 높은 종으로, 광포화점이 높아 전광을 받는 양지에 식재하는 것이 적합하나 유년성 묘목은 비교적 내음성을 지닌다. 털개회나무는 반음지 환경에서도 광포화점에 도달하였다. 두 종(버들개회나 무, 털개회나무)은 광합성 반응에 따라 구분되는 생태적 지위를 가진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생태적, 지속 가능한 정원 조성을 위하여 수종 및 식재환경 선택의 기초 정보를 제공 하고자 한다.
We analyzed the photosynthetic responses of four Syringa species (S. fauriei, S. oblata var. dilatata, S. patula, and S. patula var. venosa) to better understand the photophysiology of native Syringa for ornamental use. Both light–photosynthesis and intercellular CO2 concentration–photosynthesis responses were measured under the same growing conditions. The most shade-tolerant species in low light was S. patula (29.5–281.3 μmol·m-2·s-1), followed by S. patula var. venosa (30.2–404.0 μmol·m-2·s-1), S. oblata var. dilatata (31.4–680.7 μmol·m-2·s-1), and S. fauriei (26.3–794.3 μmol·m-2·s-1). Syringa fauriei had the highest light saturation point and is well-suited for full-sun planting, whereas S. patula reached light saturation even under partial shade; thus, these two species showed distinct ecological niches based on photosynthetic responses. These findings provide useful guidance for selecting suitable shrubs and trees to design sustainable, ecologically balanced garde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