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 Study on Establishment of Buffer Zone of Radioactive Waste Repository KCI 등재 SCOPUS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에서의 완충공간 설정에 대한 고찰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0312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방사성폐기물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초록

경주 방폐장은 궁극적으로 80만 드럼의 폐기물을 수용하는 처분시설이다. 대부분 국외 처분시설의 경우도 정확히 완충의 의미가 아니더라도 관리의 정도를 차별하기 위하여 구역을 나누어 관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국내 처분시설에서의 완충공간 설정에 대한 규제요건은 운영 중에는 원자력발전소와 크게 다르지 않아 운영중 정상운영 및 사고시 처분시설 제한구역 경계에서의 설계목표치나 성능목표치의 만족여부가 가장 주요한 요건이 된다. 폐쇄 후에의 완충공간의 의미는 제도적 관리기간 중에 부주의한 침입자가 침입하는 행위를 방지하는 최소한의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부주의한 침입행위 중 직접적으로 피폭을 유발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우물이용 시나리오에 대한 안전성 평가결과가 운영중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설정된 완충공간에 적용하여도 충분히 성능목표치 만족함을 보임으로써 적합성을 확인한다. 현재 본격적인 건설을 앞둔 경주 처분시설의 완충공간 설정에도 동일한 절차와 개념이 적용되었고 규제요건과 방사선방어적으로 만족하는 구간이 설정되었다. 단, 처분시설의 활용면적은 향후 수십년간 점차로 증가하면서 그 형태가 변하게 될 것이다. 처분시설의 처분방식이나 처분용량이 달라지게 되면 10만 드림의 처분을 기준으로 설정한 제한구역이나 완충공간은 향후 변동될 것이 확실함에 따라 이에 대한 고려도 추후 반드시 필요하다.

A new proposed repository has a final capacity of 800,000 drums radioactive waste. Most of foreign repositories have a general practice of segregating control zones which mainly contributes to classification of degree of control, whether it is called buffer zone or not. Domestic regulatory requirements of establishment of buffer zone in a repository are not much different from those of nuclear power plants for operation period, in which satisfactory design objective or performance objectiv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determination of the buffer zone. The meaning of buffer zone after closure is a minimum requested area which can prevent inadvertant intruders from leading to non-allowable exposure during institutional control period. Safety assessment with drinking well scenario giving rise to the highest probability of exposure among the intruder's actions can verify fulfillment of the buffer zone which is determined by operational safety of the repository. At present. for the repository to be constructed in a few years, the same procedure and concept as described in this paper are applied that can satisfy regulatory requirements and radiological safety as well. However, the capacity of the repository will be stepwise extended upto 800,000 drums, consequently its layout will be varied too. Timely considerations will be necessary for current boundary of the buffer zone which has been established on the basis of 100,000 drums disposal.

목차
Abstract   요약   I. 서론   II. 완충공간에 대한 규제요건    가. 국내 법규    나. 국외 법규   III. 국외처분시설의 완충공간 설정    가. 일본 로카쇼 처분시설    나. 미국의 천층처분시설    다. 프랑스 로브 처분시설    라. 핀란드와 스웨덴   IV. 국내처분시설의 완충공간 설정    가. 운영 중 정상 및 사고와 관련된 완충공간    나. 처분시설 폐쇄 후 완충공간 설정   V. 처분시설 완충공간의 규모    가. 운영 중 완충공간    나. 폐쇄 후 완충공간   VI. 결론   참고문헌
저자
  • Jeong-Hyoung Yoon(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Institute) | 윤정현
  • Joo Wan Park(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Institute) | 박주완
  • Min-Su Ju(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Institute) | 주민수
  • Chang-Lak Kim(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Institute) | 김창락
  • Jin Baek Park(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Institute) | 박진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