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벼 조유배양에 관한 연구 KCI 등재

Studies on Tissue Culture in Rice, Oryza sativa 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174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벼의 조직배양을 통한 육종적 이용을 목적으로 생태형이 다른 다수의 품종을 공시하여 2,4-D와 DNN를 첨가한 배지조건에서 발아종자와 약으로부터의 callus형성 및 기관분화의 품종간 차이를 구명하고 callus형성 및 기관분화능력이 상이한 품종간 교잡에서 잡종 제1세대의 callus형성 및 기관분화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벼 발아종자로부터의 callus형성은 현저한 품종간 차이를 인정할 수 있었다. 공시된 배지에서는 대체로 일본형 수도는 인도형에 비하여 callus형성이 좋았다. 2. 배지조성물질로서의 2,4-D와 NAA가 callus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바 대부분의 품종들은 NAA첨가배지에서 callus형성량이 많았다. NAA첨가배지에서와 2,4-D첨가배지에서의 callus형성량의 상관관계는 고도의 유의성(r=0.896**)이 인정되었다. 3. 2,4-D첨가배지에서 형성된 callus는 NAA첨가배지에서 형성된 callus보다 푸실푸실(friable)한 것이 많았다. 4. 육도는 발아종자로부터의 callus형성은 불량하나 약으로부터의 callus형성은 양호하였다. 5. callus로부터의 기관분화는 뿌리의 분화가 경엽의 분화보다 용이하였다. 또한 품종에 따라 기관분화정도에도 차이가 있었다. 6. 교잡종자로부터의 callus형성은 양친이 callus형성이 양호하면 F1 도 양호하고 양친중 편친만이 양호하드라도 교잡종자의 callus형성은 양호하였다. 따라서 callus 형성이 잘되는 편이 우성이었다. 7. 양친의 기관분화보다 잡종의 기관분화가 양호한 편이었다. 그러나 기관분화의 난이와 callus형성의 난이와는 상관이 없었다. 8. 약으로부터의 callus형성은 품종에 다라 현저한 차이가 있어 최고 10.5%에서부터 전연 형성되지 않은 품종까지 있었다. 이론형품종은 대부분이 2~4%였으나 인도형 품종은 대부분이 1%이하였다. 9. 약에서 형성된 callus로 부터의 기관분화에도 품종간 차이를 인정할 수 있었다. 10. callus로부터 기관이 분화되었을 때 albino변이체의 출현이 많았는데 발아종자으 우연보다 약의 경우에 그 출현빈도가 높았다. 11. F1 식물의 약으로부터의 callus형성 및 그로부터의 기관분화는 원녹간교잡에서는 F1 식물이 양친에서보다 좋았고 근녹간교잡에서는 양친과 같거나 약간높은 경향이었다. 12. 발아종자로 부터의 callus 형성과 약으로 부터의 callus형성과의 상관관계는 r=0.504**로서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In order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application of tissue culture to a rice breeding program.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on the callus formation from seedings and anthers and organ differentiation from the callus of rice varieties and their hybrids. It appeared that in general the callus tissue was more easily induced in japonicas than in indicas with significant varietal differences. A high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0.896** ) was obtained between the fresh weight of callus induced in NAA medium and in 2, 4-D medium in the same variety. Callus formed on the medium with 2, 4-D was more friable than that formed on the medium with NAA. The callus formation from seedlings was better than from anthers in upland rice varieties. The easiness of the callus formation appeared to be a dominant character in crosses of rice varieties. Varietal difference was also noticed in the organ differentiation from the callus and the root differentiation seemed to be easier than the shoot differentiation. Most of the plants derived from the cal1us were albinos and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albinos was greater in callus of seedlings than in that of anthers. Greater amount of callus tissue was formed from anthers of F1 plants than anyone of their parents in remote-crosses but it was clear in close-crosses. A high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0.504** ) was found between the callus formation from seedlings and from anthers.

저자
  • 趙在衍(작물시험장) | 정근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