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질소질 비료의 특성 및 유황비료에 따른 수도성장에 관한 연구 KCI 등재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Nitrogen Fertilizers and Influence of Sulfur Application on Rice Pla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175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수도작에 있어서 질소와 유황의 공급원으로 유황을 시비 하였을 때 답토양의 토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또 수도의 생육과 수량 및 식물체와 현미내의 단백질과 아미노산의 함량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우리나라의 각지방에서 채취한 토양의 pH평균치는 5.45이었고 6.5이하의 산성토양이 94%이었다. 요소, 염화칼륨, 인안의 용액을 토양과 반응시켰을때의 pH는 5.0이하가 0.0%, 5.0~6.0이 59.4%, 6.0이상이 42.85%이었고 유안을 가한 혼합용액에서는 pH 4.5이하가 0.0%, 4.5~5.5가 3.17%, 5.0~6.0이 63.4%, 6.0이상이 33.3%이었다. 또 염화칼륨과 유안의 혼합용액에서는 pH 4.0~4.5가 0.0%, 5.0이하가 3.39%, 5.0~6.0이 76%, 6.0이상이 15%이었다. 2. 우리나라 각 지방에서 채취한 토양중에서 유황의 함량과 가급태미량요소를 분석한 결과 토성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었으나 전체적으로 볼 때 철, 칼슘 및 무수규산의 함량이 많았고 유황의 함량은 4.0~41mg이었고 평균 13.2mg로서 토성에 따라 차이가 많았다. 3. 토양중에서 요소가 분해되는 속도를 측정한 결과 수용액으로 덮여 있을 때는 25℃ 에서 2일 경과되면 80%, 3일 경과되면 90% 이상 분해되나 15℃ 에서는 5일 경과후 5%이고 10일 경과후에도 25% 밖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또 토양이 습한 상태로 대기와 접촉하였을 때 요소를 주면 25℃ 에서 5일 경과후 15%, 10일 경과후 40% 정도가 분해되고 15℃ 에서는 6일 경과후 5%, 10일 경과후 15%정도 분해되였다. 이것은 요소의 효과가 밭에서 보다 논에서 크고 대기온도가 높은 곳에서 큰것으로 생각되였다. 4. 풍건토양 100g에 대한 질소의 흡수량을 조사하였는바 요소용액에서는 0.39 meq, 인산제2암모늄용액에서는 19.3meq, 황산암모늄용액에서는 8.58 meq, 황산암모늄과 인산제2암모늄 혼합용액에서는 17.6 meq로서 요소성 질소는 거의 흡수되지 않았다. 5. 초장 최고성장 시기에 유황 15% 첨가시비구가 125.7cm로서 대조구의 120.3cm보다 5.7cm가 길어 최장이었으며 엽수가 최고에 달했을 때의 유황 10% 첨가시비구가 109.7매로서 다른 처리보다 제일 많았고 대조구는 83.1매이었다. 6. 수수에 있어서는 대조구가 17.1이었고 이것에 비해 다른 처리구는 약간의 증가를 보이어 유황 및 Domomite처리구가 0.9~1.1개 정도의 증가를 보이었다. 그러나 수당립수는 대조구가 116.5립인데 비해 N.P.K.+S. 15% 처리구가 134.2립으로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었고 1000립중도 대조구가 24.5g인데 비해 N.P.K.+S. 10% 처리구가 27.7g로서 가장 무거워 많은 차이를 보이었다. 10a당 정조중은 대조구에 비하여 Dolomite처리구가 8.6%, 유황첨가구가 5.7~7.4% 증수되었음을 보이었다. 7. 식물체중의 조단백질 함량은 대조구, 5%, 10% 유황첨가구가 3.31~3.50%로서 비슷하였고 15% 유황첨가구는 3.94%, Dolomite첨가구는 5.38%였다. 아미노산도 15%유황첨가구와 Dolomite첨가구가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현미중 조단백질은 15%유황첨가구가 10.14%로서 최고이었으며 10%유황첨가구와 Dolomite첨가구는 9.85%로서 다음이었다. 아미노산도 대조구의 현미에는 유황처리구보다 작았으며 유황처리구에서는 특히 Glutamic acid와 Lysine이 함유되여 있었다.

In recent years, farmers have substituted urea for ammonium sulfate as nitrogen fertilizer in their crop production. Since crops can not take urea itself directly as it is, we attempted to determine the amount of decomposition of urea in soil. It was observed that 25 percent of urea which had initially mixed with soil was decomposed in 10 days at 15~circC and 80 percent in 2 days at 25~circC . Therefore, it was considered that large amount of urea could be lost in cool season and cool areas. In the other experiment, ammonium sulfate, as a source of sulfur, was so mixed with urea that the ratio of sulfur to nitrogen would be 15 percent. Small amount of dolomite was also added to this

저자
  • 趙在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