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습답도작기술향상에 관한 연구 III. 배수조건별 시비량 대 재식밀도가 수도실용제형성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Rice Cultivation in the Ill-drained Paddy Field Ⅲ. The Effect of the Various Agronomic Characteristies on the Fertilization and Planting Density under Different Drainage Control Par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184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1) 배수조건별 시비량과 재식밀도를 증가함에 따라 수수, 일수입수가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암거배수가 무배수보다 수수는 적었으나 일수입수는 많았다. (2) 등숙비율, 등숙도, LWR도 암 영배수에서 좋았고 시비량과 재식밀도를 높일수록 단위면적당 높은 경향이었다. (3) α -Na산화력은 암 배수가 각처리 모두 높았고 일정면적당 근활력은 다비밀식일수록 증가 경향이었으며 무배수구는 N 30kg에 80주처리에서 높았다. (4) 1일 32mm의 수직배수로 인한 양분용설로 암거 배수구가 무배수구에 비하여 초기생육은 부진했으나 후기 생육상에 호전을 보여 동화물질의 축적, 엽면적등에 높은 수치을 보였고 시비량을 증가할수록 높았으며 재식밀도를 높여줌에 따라선 주당묘수간에는 낮았으나 m2 당간에는 높았다. (5) 이상의 결과 10a당 수량은 암거배수가 무배수보다 8% 증수하였고 시비량 및 재식밀도를 증가함에 따라 증수하였다.

Drainage furnished air to provide favorable soil environment forfice growth at the late stage. A heavier fertilizer application and a denser plant density increase. Yield and yield component element by root activities and various substence productive element under sub-drainage.

저자
  • 盧承杓(전라북도 농촌진흥원) | 노승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