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수도작 잡초방제체계의 전망 KCI 등재

Development of Weed Control System in Ri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186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수도작에서 잡초방제는 필수적인 바 유초방제체계는 재배적으로는 잡초의 초종과 발생량 및 온도등 변동요인에 의하여, 경영적으로는 노임단가와 곡치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바 1950연대 이전에는 인력에 의하여 철저히 방제하여 왔으나 1960연대에는 농업노동역이 감소하 농작업의 성력화가 필요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인력제초는 줄고 제초제사용이 늘고 노동생산성향상과 수도수량유지에 많은 공헌을 하였으며 1970연대에는 제초제가 잡초방제수단의 주종을 이루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 제초체계로는 우점초종의 천이와 생태계에 여러가지 영향을 줌으로서 환경보전약인 견지에서도 문제가 되므로 장차에는 다년생잡초에도 유효하고 치묘 또는 모든 수도품종에도 안전한 제초제를 중심으로하고 여기에 생태적, 기계적 및 생물적방제법을 가미한 잡초의 종합적방제체계로의 발전이 바람직스러우며 이를 위하여 방제대상잡초의 생리생태와 제초제작용성 등의 상호관련성구명이 필요시된다.

Weed control is an essential part in rice culture and has been practiced by hand. But the shortage of man power in rural area in recent years has brought about the use of herbicides. The effective use of herbicides in rice has contributed toward improving labor situation and maintaining rice production. The use of herbicides will extend more in the future. The only limitation of present uses of monoherbicides might be the predominant growth of a certain weeds in paddy field, and subsequent effect on ecology system. It is, therefore, wanted to develop a herbicide which will be effective on several kinds of weeds. In the weed control system, ecological and integrated weed control would be necessary in the future. To obtain the most effective weed control, studies on physiological ecotype of weeds and machanism of herbicides and their interactions will be necessary.

저자
  • 安壽奉(충남대학교 농과대학) | 안수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