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파종기 이동에 따른 참깨 품종들의 유용형질 변화 및 품종간 차이 KCI 등재

Effects of Planting Date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Varietal Differences in Sesame Variet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05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참깨육종과 재배기술 개선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저 조기파종, 보통기파종, 맥후작시기인 만기파종에서 참깨 국내외 주요품종 82품종을 공시, 참깨 유용형질들의 변이와 품종간 차를 조사하여 유용 유전자원을 분류 확보함과 동시에 참깨 작형과 지대에 적응한 유용형질들의 재조합을 위한 기본적인 정보를 얻고저 본 시험이 시도되었든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참깨 영양생장의 지표형질인 경태와 초장은 저온의 조기파종기에서 가장 컸으며 고온만파에서 가장 적어서 만파할수록 영양생장이 빈약하였다. 따라서 발아에 지장이 없다면 현재의 단작재배파종기보다 조파하는 것이 유리하다. 2. 파종기에 따른 주당삭수와 삭당입수의 변화에서는 조기파종(4월 20일파)에서 평균 88삭의 착삭과 삭당 평균 54입의 입수를 가진데 대해 만기파종(6월 15일파)에서는 불과 주당 25삭과 삭당 40입만이 확보되어 만파가 크게 뒤지고 있었다. 3. 등숙율과 1,000입중에 있어서는 저온장일인 4월 20일 파종의 조파가 평균 78%의 등숙율과 2.3gr의 1,000입중을 보이는데 대해 고온기인 6월 15일 파종에서는 58%의 등숙과 2.1gr의 1,000입중을 보여 만파할수록 등숙이 불량하였다. 4. 1m2당 종실수량에서는 저온장일인 4월 20일 파종이 평균 112gr인데 대해 5월 15일 파종은 78gr이며 만파인 6월 15일 파종은 불과 18gr밖에 되지 않아 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수량은 급격히 떨어졌다. 5. 참깨 재배시기 이동에 따른 참깨품종들의 영양생장과 생식생장의 차이와 수량반응으로부터 조파적응형, 보통기적응형, 만파적응형, 중간형의 4군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6. 일조시수와 적산온도 및 주요형질과의 상관에서는 일조시수와 온도가 대부분의 수량형질들과 높은 정의 상관이 있었다. 따라서 참깨수량은 일조와 온도에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이 확인됐다. 7. 참깨 품종중에는 주당삭수 150개이상인 구례와 재래종 12003가 조사되었으며 삭당입수 75입이상인 해남, 우강품종, 등숙비율에서도 90%이상인 품종 수원 8호, 청송등이 있었다. 8. 참깨는 품종에 따라 만파적응력이 다르므로 맥후작재배용 품종육성은 반드시 맥후작 재배조건에 맞추어 별도의 육종계획으로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basic informations for breeding and improving cultural practices of sesame (Sesamum indicum L.) through investigation of several agronomic characters of 82 major varieties plants in April 20, May 15 and June 20. Stem diameter and plant height were largest in early planting(April 20). On the contrary, they were smallest in late planting(June 15). Therefore, the later planting, the poorer the vegetative growth on the basis of stem diameter and plant height. Number of capsules per plant and number of grains per capsule were 88 and 54, respectively, in the early planting, while they were decreased to 25 capsules and 40 grains in late planting. The percentage of ripeness and 1000 grain weight 78 and 2.3g in the April 20planting while they were 58% and 2.1g in June 20 planting indicating the later planting, the lower the ripeness. Grain yield per m1 in April 20 and June 20 planting was 112 and 18g respectively. Consequently, grain yield significantly decreased as planting delayed. On the basis of the vegetative and reproductive growth, varieties could be classified into early, conventional, late and indetermediate planting adapted groups. The major yield components were highly and postively correlated with accmulated sunshine hours and temperatures confirming that grain yield was closely related with sunshine and temperature. Among the varieties tested, Gurye and Local 135 had more than 150 capsules. Haenam and Woogang had more than 75 grains per capsule. Since grain yield oflate planted sesam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varieties, breeding of sesame for after barly cropping would be more effective under late cultural condition of after barly.

저자
  • 李正日(작물시험장) | 이정일
  • 李承宅(작물시험장) | 이승택
  • 嚴基哲(작물시험장) | 엄기철
  • 朴贊浩(영남대학교) | 박찬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