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참깨 개화, 등숙에 관한 연구 -제 1 보 참깨 초형에 따른 개화특성에 관한 연구 KCI 등재

Studies on the Flowering and Maturity in Sesame : Ⅰ. Flowering Habit by Different Plant Typ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15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참깨의 개화습성은 분지, 과성, 실방수 등 식물학적외부 특성차이에 의하여 8가지의 초형으으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참깨의 개화순서는 단경종이나 분지종 공히 상위부까지는 1절당 1일간격으로 개화되었으나 최상위절에서는 3∼8일이나 중단되었다가 다시 피는 개화일시정지현상을 보였는데 이러한 일시 개화정지현상은 참깨 후기등숙불량의 중요한 원인으로 추정되었다. 2. 단경종 3과성은 주화보다 측화는 4∼5절 하위절에서 개화시작되고 분지종 3과성은 주경에서 주화보다 측화는 3절 하위절에서 개화시작되었으며 분지에서는 주경주화가 5절위개화시 분지착화 1절에서 개화가 시작되었다. 3. 착화하위부에서는 같은 날에 측화는 주화보다 5절하위에서 피지만 그 거리는 상위부로 갈부록 좁혀들어 착화상위부에서는 측화는 주화보다 1절하위에서 피었다. 4. 착화중위부(7절∼9절)에서는 같은 날 한마디에서 1과성에서는 1개의 꽃이 개화되는 것이 정상이나 2개의 꽃이 개화되며(2과성), 3과성(3화성)에서는 4과성(4화성) 심지어는 5과성(5화성)으로까지 발현되는 현상을 보였다. 5. 분지종에서는 분기총화수가 전체화수의 BTQ형의 44%를 제외하고는 모두 67%∼75%를 보여 분지종에서 분지화수가 전체화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았으며 고위분지일수록 개화기간이 길어지고 화수가 많아지는 현상을 보였다. 6. 분지종 3과성 2실 4방(BTB형)은 주경과 분지에서 공히 3과성으로 개화되고 개화기간도 같은데 반해, 분지종 3과성 4실 8방(BTQ형)은 주경만이 3과성으로 개화되었을 뿐 분지는 1 과성으로 개화되었고 개화중기까지 만 분지에서 개화되고 개화후기에는 주경만이 개화되었다. 7. 분지종은 평균 128개가 개화되었고 단경종은 72개가 개화되어 화수는 분지종이 많았고 개화소요일수는 단경종이 34일인데 비해 분지종은 24일로서 단경종보다 10일이 빨라서 분지종이 화수는 많고 개화기간은 짧은 경향을 보였다. 8. 단경종보다는 분지종의 개화수가 현저히 많고 분지종중에서도 3과성2실4방이 가장 많아 NMB<NMQ<NTQ<BMQ<NTB<BMB<BTQ<BTB의 경향이 뚜렷하였다. 9. 참깨의 꽃을 엽액에 착생되기 때문에 참깨의 꽃과 잎의 착생위치는 일치되며 BMB와 NTB형의 개화진행 습성은 역시계침, 나선형으로 개화가 진행되는 십자나선형화서, 십자나선형엽서를 보였다.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flowering habit of sesame (Sesamum indicum L.). Sesame varieties tested could be classified into 8 different plant types by their morphological traits such as capsule shape, capsule setting habit and branching types among sesame gene pool of Crop Experiment Station, ORD. The first flower was appeared at the lowest node on main stem. Flowers were appeared progressively toward the tip of the main stem and also toward the tips of branches. The interval of flowering for a node was about one day, but 3 to 8 days for the flowers on the tips. Side flowers started at 4 to 5 nodes lower than those of center flower at the same day. Flowers were beared 2 by 1 node on the middle part of flower setting node (7-9) in mono capsule setting habit in spite of its normal is 1 by 1 node on the other nodes. Flowers were beared opposite direction on each node of stem and flowering toward the tip of main stem composed of cross shape between nodes and spiral, reverse of clockwise direction. We called this habit as cross spiral flowering order and cross spiral phyllotaxis. The first flower on branches was appeared when center flower on the 5th node of main stem began to flower. The branches produced at higher nodes on main stem showed larger flowering periods and more number of flowers than that at lower parts. BTB (Branch, Tricapsule, Bicarpels, 4 Loculi) type showed three capsule setting habits and same flowering period both on main stem and branches while BTQ (Branch, Tricapsule, Quadricarpels, 8 Loculi) type showed three capsule setting habit on main stem and mono-capsule setting habit on branches. In BTQ type, the period of flowering was much shorter on branches than on main stem. Branching type was considered more promising than non branching type for the breeding of early maturing high yielding variety because branching type has the advantage of bearing a lot of flowers in comparatively short flowering period.

저자
  • 李正日(작물시험장) | 이정일
  • 姜哲煥(작물시험장) | 강철환
  • 李承宅(작물시험장) | 이승택
  • 孫膺龍(고려대학교) | 슨응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