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맥관맥의 발아관련형질들의 품종간 차이 KCI 등재

Varietal Differences of Germinative Traits Related with Malting Barley Breed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32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맥관맥 품종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보리 장려품종 16품종을 공시하여 발아관련형질들의 품종간 차이를 구명코자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물의 양에 따른 발아율 비교에서 대체로 4.5 cc에서 가장 발아율과 발아세가 높았으며, 2. 저장조건 및 물의 양에 따른 발아세, 발아율, PI 및 수감수성의 차이는 품종간 유의성을 보였고, 3. 저장조건 및 물의 양에 따른 발아세, 발아율 및 수감수성간의 상관은 발아세, 발아율, PI들 간에는 정의 상관을 보였고 이들 형질과 수감수성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4. 수감수성에 대한 비교에서 피맥<과맥<맥주맥 순으로 큰 차이를 보였으며, 5. 발아세, 발아율, PI 및 수감수성에 대한 유전력은 높아 맥주맥 품종육성을 위한 고려 형질로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Sixteen Korean leading barley varieties were tested on the sixtieth day after harvest, in order to investigate differences for germinative traits related, and on the eightieth day to test optimum water level for germination test. The germinative energy(GE) and capacity(GC) in the 4.5cc water level were the highest individually. Varietal variations among GE, GC, promptness index(PI) and water sensitivity(WS) were highly significant in storage conditions and water levels. Correlation coefficient estimated were positive among GE, GC, PI, but negative between these traits and WS. Also the varietal difference of WS gets higher with the following order of malting barley<naked barley<covered barley. Heritabilities of broad sense for GE, GC, PI and WS were high, therefore, these traits could be considered in malting barley breeding.

저자
  • 南重鉉(맥류연구소) | 남중현
  • 李殷燮(맥류연구소) | 이은섭
  • 朴文雄(맥류연구소) | 박문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