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맥주맥에 있어서 직두형 및 수두형 Isogenic line의 시비량 및 재식밀도에 대한 반응 KCI 등재

Studies on the Response of Isogenic Iines of Compact and Lax Type to Fertilization and Plant Density in Malting Barle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32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1972년 맥주맥 기신 2조 001 Deba abed를 교배하여 Hetero 반복자식법에 의하여 1982년에 만들어진 수두형 및 직두형 동질유전자계통(Isogenic lines)을 이용하여 시비량 3수준(표준비, 질소 30% 증비, 질소 60% 증비), 재식밀도 3수준 (60 18cm, 40 18cm, 20 5cm)으로 처리하고 시비량재식밀도에 따른 수두형 및 직두형계통의 생육, 수량 및 품질차이를 구명하기 위하여 1984년 10월부터 1985년 10월까지 천안에 위치한 단국대학교 농과대학 실험포장에서 시험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수두형 동질유전자계통은 직두형 동질유전자계통보다 수장과 수축절간장이 길고 입착각도가 크며 1수립수는 계통간에 차이가 없었다. 재식밀도에 따라서 변화가 인정되지 않는 특성은 출수기와 수장이며 재식밀도에 따라 변화되는 유의 2. 수형유전자의 작용을 받지 않은 형질은 출수기, 간장, m2 당 수수, 1수립수, 수량, 가변성질소등으로 수형동질유전자계통간에 유의성이 없었고 수형유전자의 작용을 강하게 받는 형질은 주로 품질에 관련되는 형질로서 수장, 천립중, 정립률, 원맥 및 맥아조단백질함량, 맥아수량률, 맥아전질소, 콜박지수, 효소력 등으로 유의성이 있었다. 3. 수두형과 직두형 동질유전자계통이 시비량 차이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은 형질은 출수기, 간장, 수장, 1수립수, 천립중 등이며 영향을 많이 받는 형질은 m2 당수수, 수량, 정립률, 원맥 및 맥아조단백질함량, 맥아수량률, Extract 수량률, 맥아전질소, 가용성질소, 콜박지수, 효소력 등이다. 4. 수두형과 직두형 동질유전자계통이 재식밀도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은 형질은 출수기, 수장이며 영향을 받는 형질은 간장, m2 당수수, 1수립수, 천립중, 1 중, 수량, 정립률과 품질관련 형질들이었다. 5. 시비량에 있어서 12-12-9 kg 구가 맥주맥의 품질이 가장 좋으며 수양은 15-12-9kg 가 많았고 재식밀도에 있어서 관행재배보다 협신파재배나 세조파재배를 할수록 다시 말하면 균등배치양식을 할수록 수량이 많아지고 품질이 양호하였다. 6. 수두형이 직두형 동질유전자계통보다 품질관련형질면에서 유리하므로 양질맥주맥 품종육성에 있어서 선발지표로 할 수 있으며 수두형은 직두형보다 간이 연약하여 도복이 우려되므로 선발시 항상 유의해야 한다.

Taiwan land race, Taichung 2 rowed barley #1 was crossed with England cultivar, Deba abed in 1972, and two isogenic lines-lax and compact heads-were made in 1982. So as to three fertilizer and three seeding density levels were treated at Dan-Kook Agricultural College farm located in Cheonan in 1984-1985. Lax head type had longer spike length and rachis than compact type. The traits uninfluenced by different head types were heading time, number of grains per spike, yield and soluble nitrogen content. However, the traits related to malting quality such as 1,000 grain weight, assortment ratio, protein content of grain and malt, malt extract, malt total nitrogen content, Kolbach index and diastatic power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head types. The number of spikes per m2, yield, assortment ratio, crude protein content of grain and malt yield ratio, extract yield ratio, malt total nitrogen, souble nitrogen content, Kolbach index and diastatic power were affected by fertilizer and seeding density levels in both isogenic lines. The malting quality was best at 12-12-9 kg/l0a fertilizer level and the yield was greatest at 15-12-9 kg/l0a level. Narrow-spaced or drilling seeding had greater yield and better malting quality than conventional row seeding. The plant with lax head type had some advantages in malting quality, suggesting that this trait would be considered as an selection criterion fer good malting quality lines.

저자
  • 曺章煥(단국대학교) | 조장환
  • 李殷燮(맥류연구소) | 이은섭
  • 蔡濟天(단국대학교) | 채제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