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비닐피복이 모화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Vinyl-mulching Culture on Growth and Yield of Cootton(Gosspium hirsutum 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33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우리나라에서의 목화재배는 방적원료생산이 아닌 혼수용을 위한 제면원료 생산이란 의미에서만이 재배적인 의미를 찾을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제면원료 수요양시과 양질솜 다수확재배를 위해 비닐멀칭재배를 도입, 목화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했던 바 관행무피복재배보다 배 이상의 증수효과를 얻게 되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다음과 같다. 1. 출현기와 개화소요일수에서 비닐피복은 관행무피복보다 모든 파종기에서 빠르고, 짧았으며 비닐피복파종에서는 파종기가 빠를수록 개화소요일수가 단축되었다. 2. 개노소요일수에서도 비닐피복파종기가 빠를수록 2∼7일 단축되었고 무피복재배에 비해서는 무려 8∼15 일이나 비닐피복재배가 단축되었다. 3. 초장, 결과지수, 주당삭수에서는 비닐피복은 무피복보다 초장에서 2∼29cm 더 길어서 생육이 장대하였고 결과지수는 4월 10일 조파비닐피복이 무피복보다 거의 2배나 많았으며 주당삭수에서도 4월10일 조파 비닐피복이 관행무피복보다 주당 15∼24개가 더 달려 2배가되었다. 4. 적심면수량은 무피복보다 비닐피복이 큰 차이로 많았으며 파종기별 비닐피복에서는 빠를수록 많아서 조파 4월 10일 비닐피복이 무피복보다 128%나 더 많았는데 적심면비율은 무피복 79% 4월 10일 비닐피복이 99%였다. 5. 소면수량과 소면비율에서는 무피복보다는 비닐피복이, 파종기는 빠를수록 소면비율이 높았으며 따라서 소면수량도 4월 10일 조파비닐피복이 무피복보다 수원 001에서 76%(104kg/ 10a) 목포 7호에서 90%(93kg/10a) 증수되었다. 6. 수원과 무안 2개 지역에서의 비닐피복 효과는 무피복보다 비닐피복이 수원에서 최고 90% 소면수량이 증수되었고 무안에서는 최고 168% 증수되어 비닐피복 증수효과가 남부인 무안에서 더 컸다. 7. 목화섬유장과 면실유 지방산조성에서는 비닐피복이 무피복보다 섬유장에서 약간 더 길었으며 면실유의 주지방산인 리놀산은 4월 10일 조기비닐피복 파종이 무피복보다 높아 양질지방산조성이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cultural method capable of raising of picked cotton ratio and more high-yielding in the middle part of Korea where growth period of cotton is short. By early vinyl-mulching culture, emergence date was earlier, flowering and boll opening were shorter than non-mulching, especially boll opening date was earlier about 8 to 15 days. Plant height was longer by vinyl-mulching, fruiting branches and number of bolls per plant at vinyl-mulching of the 10th April produced more twice than non-mulching of the 10th May. Picked cotton ratio was 79% at non-mulching of the 10th May, while viny-mulching of the 10th April produced most of picked cotton as picked cotton ratio 99%. At vinyl-mulching of the 10th April, lint yield increased more 76-90% than non-mulching. Staple length was some longer and also content of linolenic acid of cotton seed oil was higher than non-mulching.

저자
  • 李正日(작물시험장) | 이정일
  • 朴用煥(작물시험장) | 박용환
  • 鄭奎鎔(작물시험장) | 정규용
  • 朴來敬(작물시험장) | 박래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