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질소비료수준과 재식밀도가 벼 품종의 엽형질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Influence of Nitrogen Level and Planting Density on the Leaf Characteristics of Rice(Oryza sativa L.) Cultiva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45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해양성 기후의 영향권인 경남 통영에서 재식밀도와 질소수준이 물질생산과 수용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225kg ha1, 150 kg ha1 두 질소수준을 주구, 삼강벼와 동양벼 두 품종을 세구 30cm 15cm, 30cm 12cm, 30cm 9cm 등 세 재식밀도를 세세구로 Strip split plot design으로 3반복 처리하여 엽위별 형태적 특성과 건물중, 생육후기 잔존 생엽수와 수량과의 관계를 구명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가. 동진벼의 엽장은 질소수준에 관계 없이 4, 3, 2, 1엽의 순으로 삼강벼는 질소수준 150 kg ha1구에서는 3, 4, 2, 1엽, 225 kg ha-1 구에서는 4, 3, 2, 1엽의 순으로 길었다. 나. 150 kg ha1. N. 구에서 삼강벼의 제 1엽장은 동진벼에 비해 길었으나 2, 3, 4엽장은 짧았으며 225 kg ha1. N. 구에서는 1엽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2엽은 길고 3, 4엽은 짧았다. 다. 동진벼의 엽폭은 150 kg ha1. N. 구에서는 1, 2, 3, 4엽의 순으로 225 kg ha1구에서는 1, 2, 4, 3엽의 순으로 넓었으며 삼강벼는 질소수준에 관계없이 상위엽폭이 넓었고, 재식밀도간에는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라. 동진벼의 엽초장은 1, 4, 3, 2엽초, 삼강벼는 1, 2 ,3, 4엽초의 순으로 길었고, 동진벼는 다비구에서 재식밀도가 낮을 수록 상위엽초장이 길어졌으나 삼강벼는 유의적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마. 다비, 밀식됨에 따라 두 품종의 엽신, 엽초중이 증가되었으며, 삼가여의 1, 2엽신중은 동진벼 보다 높았으나 3, 4엽신중은 낮았다. 삼강벼는 2, 1, 3, 4엽, 동진벼는 3, 2, 1, 4엽 순으로 엽신중이 높았다. 다비구에서 두 품종의 상위엽초중이, 또 재식밀도의 증가에 따라서는 두 품종의 엽초중이 증가되었다. 바. 재식밀도가 증가할수록 잔존 생엽수는 감소되었다. 삼강벼의 잔존 청엽수는 동진벼에 비하여 제 5엽은 20%, 4엽은 20% 증대되었다. 잔존 청엽수는 질소수준 보다 재식밀도의 영향을 크게 받는것으로 나타났다. 사. 재식밀도와 질소수준이 증가할수록 증수되는 경향을 보였고 삼강벼는 동진벼 보다 30% 증수되었다. 단엽, 직립엽, 엽폭의 증대 그리고 잔존 생엽의 증가는 증수요인임이 확인되었아. 다비와 밀식은 미질에 다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였다.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s of nitrogen fertilizer and planting density on the leaf characteristics of high yielding cultivars of rice, Dongjin (Japonica type) and Samkang (Tongil type) were .grown under two nitrogen levels (150 and 250 kg N/ha) and three planting densities (30 ~times 15 cm, 30 ~times 12 cm, 30 ~times 9 cm. Leaf blade, sheath and dry weight of individual leaf. the number of green leaves after flowering were measured. Samkang was characterized as longer and wider leaf blade and sheath than Dongjin, less sensitive to nitrogen fertilizer and planting density, and higher proportions of green leaves after flowering. Thes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amkang caused an increase of grain yield by 30 per cent.

저자
  • 李賢度(충무시 농촌지도소) | 이현도
  • 賓榮鎬(경상대학교 농촌대학 농학과) | 빈영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