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야생종 H. bulbosum을 이용한 보리 반수체 육성 KCI 등재

Barley Haploid Production Using Interspecific Crosses between Hordeum vulgare and H. bulbosu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46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본 시험은 종간교잡을 이용한 효과적인 보리 반수체 육성에 관한 체계적인 방법을 수립코자 실시하였다. 반수체 배 생산은 보리 품종 Bruce, Klages 와 Rodeo를 모본으로, H. bulbosum을 부본으로 하였다. 1. 총 1,687 화를 교배하여 1,079립의 종자를 수확하여 46% 교잡율을 얻었다. 2. 1,079립의 종자로부터 834개의 배를 생산하여 77%의 배 형성율을 얻었다. 3. 근 발육촉진을 위해서는 IAA가 NAA보다 효과적이었고, 4. 0ppm, 1ppm, 5ppm, 10ppm과 30 ppm의 IAA 농도중 1ppm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5. 콜치신에 의한 염색체 증가율은 82%이었다.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stablish the effective barley haploid production system using interspecific crosses. Three spring barley cultivars. Bruce. Klages and Rodeo were used for this experiment. 1, 687 florets of three barley cultivars were crossed with bulbosum pollens. 1, 079 seeds were harvested and obtained 834 embryos so that seed set rate and embryo production rate were 64% and 77%, respectively. IAA effect was superior to NAA for root development and 1 ppm concentration of IAA gave the best result among five concentrations; 0ppm, 1ppm., 5ppm, 10ppm and 30ppm.

저자
  • D.U. Kim | 김달웅
  • Duane L. Johnson
  • B.Y. Kim | 김봉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