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율무 시비량 차이에 따른 주요형질 및 수량변이 KCI 등재

Effect of Fertilizer Levels on Major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Seed Yield in Job"s Tea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46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율무 시비량에 따른 생태적 형질,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흑석종과 애원종을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장, 분얼수, 엽수, 경직경의 모든 생육 특성은 혹석종, 애원종 모두 N-P2 O5-K2 O=18-9-9 kg/10a 처리에서 높게 나타났고 이보다 비료량이 더 적거나 않은 처리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2. 백립중, 건경중, 종실중의 수량형질 역시 N-P2 O5-K2 O=18-9-9 kg/10a 처리에서 높게 나타났고 이보다 비료량이 더 적거나 않은 처리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3. 종실수량은 초장, 분얼수, 엽수, 경직경, 백립중 및 건경중과 고도의 정상관을 보였다. 4. 분산분석에서는 품종간, 시비량간, 품종과 시비량의 교호작용에서도 모두 고도의 유의차를 나타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optimum fertilizer level for two job's tear varieties. Heuksuk and Ewon from local cultivars at 18 compositions of fertilizer levels. Plant height was longest. number of tillers and leaves were increased. stem diameter was thickest, 100 grains weight. stem and grain yield were heaviest at the compositions of fertilizer amounts with N-P2 O~sub 5/-K2 O were 18-9-9~ kg/ (3-2-2) per 10a. Plant height. number of tillers and leaves. stem diameter, 100 grains weight and stem yiel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ain yield and showed positive correlation. Judging from the results reported above, in optimum fertilizer amounts for N-P2 O~sub 5/-K2 O seemed to he 18-9-9~ kg/ (3-2-2) per 10a.

저자
  • 權炳善(순천대학) | 권병선
  • 李正日(작물시험장) | 이정일
  • 朴熙塡(조선대학교) | 박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