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수도 웅성불임제로서 Sodium Methyl Arsenate의 효과 KCI 등재

Effect of Sodium Methyl Arsenate as a Male Gametocide on Rice (Oryza sativa 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47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웅성 불임제를 이용한 바 1대잡종 종자 생산체계를 대립하고자 웅성불임제인 sodium methyl arsenate의 적정 처리농도, 처리시기, 처리량 및 품종간 반응에 대하여 검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웅성불임 유발에 적절한 약제의 처리농도는 0.02%이었고, 웅성불임 유발률은 처리량에 관계없이 출수전 5일 이전 처리에서 99% 이상이었다. 2. 자방 생존률은 처리량이 적을수록 또 처리시기가 늦을수록 높은 경향으로 출수 전 5일 이후 처리에서 18.8∼33.8%이었다. 자방 생존률은 동일처리 조건에서도 품종에 따라 달랐으며 태백벼가 25.8%로 가장 높았고, 용문벼가 10.3%로 가장 낮았다. 3. 종자의 발아률은 약제 처리량이 많을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4. sodium methyl arsenate 처리는 약해를 유발시키고 간장과 수장이 짧아지며 수당 입수가 감소하는 등의 생육 저해를 초래하였으며 특히 이삭의 추출이 불량하였는데 이러한 점들은 앞으로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Sodium methyl arsenate has been evaluated as a male sterilizing agent for the system of producing hybrid rice seeds. The compound was the most effective at the concentration of 0.02%. When applied as a foliar spray to four rice varieties at 15 days before heading, sodium methyl arsenate has produced 99% male sterility. But the most effective time for application of the compound was 5 days before heading because of its phytotoxic effects. Effective application volume of the compound solution has depended on the growth of the plants treated. Varietal difference on the activity of the compound has been detected.

저자
  • 趙守衍(작물시험장) | 조수연
  • 孫永姬(작물시험장) | 손영희
  • 崔海椿(작물시험장) | 최해춘
  • 文憲八(작물시험장) | 문헌팔
  • 朴來敬(작물시험장) | 박래경
  • 朴南圭(작물시험장) | 박남규
  • 金鍾昊(작물시험장) | 김종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