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Two-dimensional Ordination 분석법에 의한 수도 품종 분류 KCI 등재

Classification of Rice Cultivar Using Two-dimensional Ordination Analys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47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우리나라에 재배되고 있는 주요 수도품종들의 생육형질들의 차이점을 양적으로 나타내고 또한 이들 품종들의 위치를 도면상에 나타내어 실용적인 면에서 품종을 쉽게 선정 또는 분류할 수 있게 하기 위해 Two-dimensional ordination 분석법을 도입하여 검토 분석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된 27개 품종중에서 장성벼가 다른 품종들과의 종합적인 생육형질의 유사성계수가 가장 적었으며, 다음으로는 칠성벼, 가야벼, 기호벼, 한강찰벼, 상풍벼 순이었고, 반대로 종합성육형질의 유사성계수가 가장 높은 품종은 대청벼와 영산벼였고 다음은 낙동벼, 신선찰벼, 광명벼, 영덕벼, 팔공벼, 동진벼의 순이었다. 2. 품종집단별로 유사성계수가 가장 적은 품종집단은 가야벼와 상풍벼, 기호벼 또는 서남벼집단, 삼강벼, 기호벼집단, 칠성벼와 장성벼, 상풍벼, 추정벼, 기호벼 또는 서남벼집단, 장성벼와 광명벼, 상풍벼, 기호벼, 대창벼 또는 화성벼집단으로 45∼50% 범위의 유사성계수를 보였다. 한편 유사성계수가 가장 큰 품종집단은 동진벼와 신선찰벼, 대청벼, 섬진벼 또는 영산벼집단, 상풍벼와 기호변집단, 영덕벼와 영산벼 또는 팔공벼집단, 광명벼와 영덕벼집단, 락동벼와 광명벼, 영덕벼, 대청벼, 화성벼 또는 영산벼집단, 신선찰벼와 대청벼 또는 영산벼집단, 섬진벼와 대청벼 또는 영산벼집단. 대청벼와 영산벼집단으로서 유사성계수가 85% 이상을 나타내었다. 3. Two-dimensional ordination 분석법에 의한 품종분포는 대부분의 품종이 현행 분류방법인 통일형과 자포니카형으로 구분되었으나, 통일형품질인 중원벼는 오히려 자포니카형 품종군에, 그리고 자포니카형 품종인 섬진벼는 오히려 통일형 품종군에 위치하였고, 신선찰벼와 대청벼는 통일형과 자포니카형 품종군의 중앙부에 위치하였다. 4. Two-dimensional ordination 분석법에 의한 품종분류는 품종배치다양화를 위한 실용적인 선정방법이 될 뿐만 아니라 목적하는 바, 형질을 갖는 품종선정에도 좋은 정보를 제공하여 주었다.

Twentyseven rice cultivars were compared Quantitatively and classified by 15 agronomic traits. For this, 12 Tongil-type rice cultivars and 15 Japonica-type rice cultivars were transplanted at the experimental farm of the Yeongnam Crop Experiment Station on May 25 in 1987. Jangseongbyeo belonging to Tongil-type had the greatest dissimilarity total among 27 rice cultivars and followed by Chilseongbyeo, Gayabyeo, Hangangchalbyeo, Gihobyeo (Tongil-type) and Sangpoongbyeo (Japonica-type) while cultivars having greatest similarity total were Daecheongbyeo and Yeongsanbyeo and followed by Nagdongbyeo, Sinsunchalbyeo, Gwangmyeongbyeo, Yeongdeogbyeo, Palgongbyeo and Dongjinbyeo that were all belonging to Japonica-type cultivars. CuItivar pairs having the greatest dissimilarity coefficient (50-55%) were combinations of Gayabyeo and Sangpungbyeo, Gihobyeo, or Seonambyeo, combinations of Chilseongbyeo and Jangseongbyeo, Sangpung-byeo, Chucheongbyeo, Gihobyeo or Seonambyeo and combinations of angseongbyeo and Gwangmyeong-byeo, Sangpungbyeo, Gihobyeo, Daechangbyeo or H waseongbyeo. On the other hand, cultivar pairs having the greatest similarity coefficient (above 85 %) were combinations of Dongjinbyeo and Sinsunchalbyeo, Daecheongbyeo, Somjinbyeo or Yeongsanbyeo, combination of Sangpungbyeo and Gihobyeo, combinations of Yeongdeogbyeo and Yeongsanbyeo or Palgongbyeo, combination of Gwangmyeongbyeo and Yeongdeogbyeo, Combinations of Nagdongbyeo and Gwangmyeongbyeo, Yeongdeogbyeo, Daecheongbyeo, Hwaseongbyeo or Yeongsanbyeo, combinations of Sinsunchalbyeo and Daecheongbyeo or Yeongsanbyeo, combinations of Somjinbyeo and Daecheongbyeo or Yeongsanbyeo and combination of Daecheongbyeo nd Yeongsanbyeo. Two-dimensional ordination analysis method provided the information on cultivar classification between Japonica-type and Tongil-type cultivars except a few cultivars. Only two cultivars, Joongweonbyeo and Seomjinbyeo were located opposit area that implied Tongil-type cultivar Joongweonbyeo was rather close to Japonica-type while Japonica-type cultivar Seomjinbyeo was rather close to Tongil-type, respectively. Sinsunchalbyeo and Daecheongbyeo, on the other hand, were located on the line between two cultivar groups. The method of two-dimensional ordination analysis concluded as feasible approach to classify cultivars Quantitatively for the practical purpose.

저자
  • 金純哲(영남작물시험장) | 김순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