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시비량이 진주조의 생산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Fertilizer Levels on Productivity and Quality of Pearl Mille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52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본 시험에서는 일반숙전과 신개간지 토양에서 비료 증시용이 진주조의 생산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원 ,청주, 전주, 진주 및 북제주에서 1986∼'88년 시험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질소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사 초장, 청예수량, 및 단백질함량이 증가하였다. N30kg/10a까지는 도복이 많이 되었다. 초고가 1m 이상되고 일기가 불순하여 도복이 우려되면 지표면에서부터 20cm 남기고 예취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2. 일반숙전토양에서 N45∼60kg/10a 구에서 평균 청예수량 12.7∼13.4t/10a이 생산되어 가장 증수되었다. 인산, 가리비료의 증시효과도 있었다. 특히 가리사료의 증시효과가 컸다. 3. 신개간지 토양에서도 개양식 배비구(60-60-40-4000kg/10a)에서 청예수량 12.6t/10a이 생산되어 표준비구에 비하여 38% 증수되었다, 진주조 청예수량이 수수류나 옥수수에 비하여 월등히 증수되었다. 4. 청예용 식물체의 조단백질함량도 진주조 1회 예취에서 11.8%, 4회예취 평균 16.1%로 월등히 높았다. 소화율도 57.6∼63.4%로 옥수수 46.3%, 수수/수단그라스 47.3∼57.6%에 비하여 높았다.

Pearl millet (Pennisetum americanum (L.) Leeke) is a promising forage crop that is resistant to biotic and abiotic stresses, and has a capability to grow well not only in the fertile soil, but also in the poor and dry soil,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creased fertilizer application level on th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pearl millet in the old and newly reclaimed upland soils of Suwon, Chungju, Jeonju, Jinju and Jeju in Korea from 1986 to 1988, Plant height, green fodder yield, protein content and digestibility were increased by the increased fertilizer application level. However, the increased fertilizer application caused lodging, so that the plants grown above one meter in canopy height would be desiable to be clipped remaining 20cm above the ground surface before lodging, and fed to cattle, Mean green yields of the N 45-60kg/l0a application were 12.7-13.4t/l0a in the old upland soil. Increased phosphorus and potash fertilizer application also increased productivity, especially with potash fertilizer effect being higher than that of phosphorus fertilizer, In the newly reclaimed upland soil, improved and doubled fertilizer application plot of 60-60-40-4000kg/10a in N-P2 O~sub 5/-K2 O-Compost was 38% higher being 12.6t/10a of green fodder yield as compared with standard fertilizer application plot, Pearl millet productivity and Quality were higher than those of maize and sorghum/sudan grass hybrids, particularly in green fodder yield, protein content and digestibility,

저자
  • 崔炳漢(작물시험장) | 최병한
  • 朴根龍(작물시험장) | 박근용
  • 朴來敬(작물시험장) | 박래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