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벼품종의 재배지역에 따른 미질특성변이 II. 미질관련형질 상호간의 관계 KCI 등재

Variation of Grain Quality of Rice Varieties Grown at Different Locations - Ⅱ.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Related to Grain Qual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55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벼 6품종을 대상으로 품종별로 8-20 지역에서 1987년과 1988년에 생산된 쌀을 각각 수집하여 그들의 외관, 아밀로스함량 및 알칼리붕괴도, 아밀로그라프에 의한 쌀가루의 호화 및 점성특성과 레오메타를 이용한 밥알의 조직감(Texture)을 조사하고 관능검사법에 의한 식미평가를 실시하여 이들 상호간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1. 동일품종내에서는 재배지역에 따른 심복백미비율의 변이가 백미천립중, 쌀알의 아밀로스 함량과 알칼리붕괴도, 쌀가루의 아밀로그람특성, 밥알의 레오그람특성 및 식미와 각각 독립적으로 나타났다. 2. 재배지역에 따른 변이정도가 컸던 형질들간의 단순상관관계를 보면 아밀로그람특성 중 최고점도와 break down간에 정의 상관, 최고점도와 set back간, 그리고 set back과 break down간에는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알칼리붕괴도와 break down간, 알칼리붕괴도와 최고점도간에는 정의 상관, 그리고 알칼리붕괴도와 set back간에는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3. 아밀로그람특성 중 최고점도와 break down 값이 낮았고 동시에 set back 값은 높았던 3지역 쌀은 최고점도와 break down 값이 높고 set back 값이 낮았던 3지역 쌀에 비하여 알칼리붕괴도는 높고, 레오그람특성 중 식미지수(TPI)와 점성/경도비율(Vi/H)은 낮았으며 관능검사법에 의한 종합식미에서도 낮은 점수를 받았다. 4. 레오메타로 조사한 점성/경도비율과 관능검사로 평가한 종합식미를 품종별 지역평균치보다 상급, 하급 그리고 평균치정도의 3등급으로만 나누어 두 형질간의 간계를 검토한 결과 점성/경도비율이 상급인 쌀은 종합식미가 평균치정도 또는 상급으로 판정받은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레오메타특성 중 식미지수와 종합식미와의 관계도 점성/경도비율에서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수량을 평가하면 조수입보다 다소 과소평가되었다. 8. 이삭을 수확한 후 경엽의 건물수량은 740-963kg/10a으로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으며, 건물함량은 20.8-24.5%이었다. 9. 흑조위축병은 11.8-15.0% 리병되었으나 질소시비량간에는 차이가 없었다.)에서 떨어지는 경향이었고, 유상무에서는 산란 전기간(21~72주령)동안 사육밀도에 따라 산란양은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처리간 통계적 유의성(P<.05)이 인정되었다. 7. 산란전기간 동안(21-72주)의 사료섭취양은 백색계에서는 사육밀도간에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나 유색계에서는 사육밀도와 수당 급이기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사료섭취양도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처리간의 유의성도 인정되었다. 8. 사료요구율은 백색계에서는 초고밀도(272cm2 /수)에서 2.94로 가장 많았으나 다를 처리구 사이에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며, 유색계에서도 306cm2 /수의 고밀도 구에서 2.87로 가장 높았으나 다른 처리구 사이에서는 일정한 경향치가 없었고 통계적 유의차도 인정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산란계의 케이지 사육 적정 밀도는 백색계의 경우 초고밀도인 272cm2 /수를 제외한 수당면적 306~453cm2 , 유색계의 경우 수당면적 340~453cm2 일 때 경제능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고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첨가구가 높은 경향이 있었다8.4%. 79.7% 그리고 80.2%였다. 5. 체중구성요소들의 중상비율간의 상관근도는 계통간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체중구성요소중 체중과 상관정도가 높은 부위들은 방혈양, 두부, 각부, 흉부, 퇴경부등이

Six commercial rice varieties were cultivated at different locations in 1987 and 1988. Rice samples harvested from 8 to 20 locations for a variety each year were used to measure or observe grain appearance, amylose content and alkali digestibility, cooked rice texture using rheometer, gelatinization and viscosity of rice flour using amylograph, and eating Quality of cooked rice by sensory evaluation.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characteristics showing large locational variation were analized to approach the long-term objective, rice grain Quality standardization. Percent white-center and white-belly grain of the same variety showed great variation between locations, but did not affect on 1000-grain weight, amylose content and alkali digestibility, amylogram and rheogram characteristics, and eating Quality of cooked rice. Positive correlationship were obtained between maximum viscosity and break down, and maximum viscosity and alkali digestibility. Set back was correlated negatively with maximum viscosity, break down and alkali digestibility. Rice samples having significantly lower values of maximum viscosity and break down and higher set back value at the same time showed higher ADV and lower texture palatability index (TPI) and viscousness/hardness ratio (Vi/H), and lower sensory evaluation score of cooked rice compared with those of rices having typically higher values of maximum viscosity and break down and lower set back value. When TPI, Vi/H and overall sensory eating score of cooked rices measured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high, medium and low using deviation from locational mean value of a variety, many of rice samples having high TPI or high Vi/H showed medium or high in overall sensory eating score of cooked rice.

저자
  • 金光鎬(건국대학교 농과대학) | 김광호
  • 朱鉉圭(건국대학교 농과대학) | 주현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