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불량식미쌀에 대한 우량식미쌀 및 찹쌀의 혼합과 쌀의 품종간 혼합이 밥맛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Changes in Palatability of Cooked Rice by Blending High Quality Rice or Glutinous Rice to Low Quality Rice and by Blending Rice of Different Variet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65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우리나라에서의 미곡의 유통은 통일계와 일반계는 구분되어 이루어지고 있으나 식미가 다른 품종간에는 대부분 구분되지 않고 혼합되어 관리ㆍ유통되고 있다. 그러나 쌀의 식미는 품종간에 차이가 크고 국민들은 양식미쌀을 선호하므로 저식미쌀에 찹쌀, 또는 고식미쌀을 일정비율 혼합하여 식미향상효과를 얻을 수 있는지와 밥맛이 다른 품종들의 쌀을 일정비율로 혼합했을 때 밥맛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시료는 1987년 및 1989년산 통일계벼, 1990년 고성 및 부여산 일반계, 1989년산 통일계 삼강벼. 일반계낙동벼. 1990년산 추청벼, 동진벼 및 진부10호를 식미관능검사 1주일 전에 12분게로 도정하여 사용하였고 시판되는 최고가의 이천쌀과 일반계 찹쌀 상품을 공시하였으며, 식미관능검사는 국립농산물검사소 검사반과 작물시험장 미질 검정실에 의해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저식미찰(일반계)에 시판 고식미쌀을 중량비 80%까지 혼합하여도 식미향상은 없었으나 동진벼쌀(고식미)을 80% 혼합했을 때에는 동진벼쌀과 동등한 평점을 얻는 식미향상효과가 있었다. 중식미쌀에 시판 시판 고식미쌀을 80% 혼합한 경우는 식미가 크게 향상되었다. 2 식미가 불량한 통일계 고미('87, '89년산)에 시판되는 일반계 찹쌀상품을 20% 혼합하였을 때 식미가 향상되었으나, 중하위 식미의 통일계 중상위 식미의 일반계쌀에는 찹쌀 20% 혼합시에도 유의적 효과가 인정되지 않았다. 3. 중위 및 상위 식미품종인 낙동벼, 동진벼, 추청벼 간 여러가지 비율로 혼합한 경우 단일품종과 비교하여 일정한 경향의 유의적 식미 변화가 인정되지 않았다.1989년산간에 평균평점차이가 뚜렷해졌으나 통일계벼는 1987, 1988, 1989년산간에, 일반계벼는 1989년산과 1990년산간에 밥맛평가에서 통계적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3. 정부양곡보관창고들 중 특급창고와 1급창고에 보관했던 일반계 벼간에는 3개조사지역 모두 현미지방산도와 밥맛평가면에서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2급창고는 3개지역 모두에서 지방산도가 약간 높고 밥맛평점이 약간씩 낮았다. 4. 저온저장(4℃ , RH 50%)한 벼는 2년반 저장한 벼도 밥맛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5. 1988년산 및 1989년산 일반계를 10분도와 12분도로 도정하였을 때 도정도에 따른 밥맛의 차이는 없었다.X>CoOx는 Co3O4 로 존재하고, 반응 전의 경우에는 이와는 다른 chemical state를 보여주었다. XRD 및 XPS 결과를 바탕으로, 촉매표면에 존재하는 Co3O4 의 외부표면이 Co2TiO4 와 CoTiO3 같은 CoTiOx 로 encapsulation되어 있는 모델구조를 제안할 수 있고, 이는 반응시간의 함수로 나타나는 촉매활성에 있어서 전이영역의 존재를 잘 설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XRD와 XPS에서 얻어진 촉매의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다. 나타냈고, 골격근과 눈 조직에서 피루브산에 대한 LDH의 친화력이 상당히 크므로 LDH가 혐기적 조건에서 효율적으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5) and "Cleanliness of clot

Demand for the rice of better eating quality is ever increasing in recent years. However. the rice is presently handled by the government and merchants as mixture of the rice of different varieties from the purchase of the rough rice to storing and milling. It is well known that the eating quality of rice varies significantly by variety. The present study aimed at evaluation of the effect of blending different rices on the change in palatability of low and high eating quality rices. The eating quality of a low quality japonica rice was improved significantly on sensory panel test by blending it with the Dongjin rice. one of the highest eating quality. only when the Dongjin was blended to 80 percent by weight. and also it was same for blending an ordinary quality rice of mixed varieties which has been stored by a governmental storehouse with a top class rice on free market. The eating quality of aged Tongil type rice. produce of 1987 and 1989 and a mixture of varieties, was improved significantly by blending it with a high quality glutinous rice on market to 20 per cent by weight. But Samgang rice. a high eating quality Tongil type variety. and an ordinary quality rice of Japonica varieties were not significantly improved by blending them with the glutinous rice by 20 per cent. Blending rices of the variety Nagdong. ordinary quality among varieties and low quality among Japonicas, Chucheong, a high quality rice among Japonicas. and Dongjin. one of the best eating quality rice among Japonicas, each other in different ratios did not affect significantly the sensory scores.

저자
  • 崔海椿(작물시험장) | 최해춘
  • 全遇滂(국립농산물검사소시험소) | 전우방
  • 權容雄(서울대학교 농학과) | 권용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