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미숙배 배양시 GA3 농도가 보리의 춘화처리 효과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GA3 Concentrations on the Vernalization Period in the Immature Embryo Culture of Barley (Hordeum vulgar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69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GA3 농도 및 저온처리 기간이 보리의 춘화처리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추파성 정도가 IV인 올보리를 공시하여 출수후 13 및 20일이 경과한 미숙배를 GA3 농도별로 B5배지에 치상하여 저온처리한 후 온도 20/15℃ , 14시간 일장으로 온냉조절실에 이식재배하여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미숙배의 생육은 출수후 13일배 보다 20일배가 양호하여 발아율 및 유묘장은 증가하였고, 평균발아일수는 감소하였는데, GA3 1 및 10ppm이 효과가 좋았다. 2. GA3 농도가 증가할수록 상엽전개 및 출수일수가 단축되었으며, 춘화처리에 효과가 높은 GA3 농도는 1,10ppm이었고 GA3 와 저온처리가 병행될 때 춘화처리효과가 높았다. 3. GA3 처리에 따른 상엽전개일수 단축 효과는 3주 저온처리의 GA3 무처리구보다 2주 저온처리의 GA3 1,10ppm에서 각각 3, 16일 단축되었고, 3주저온처리의 1ppm에서 18일, 10ppm에서 20일 단축되었다. 4. 간장, 수장 및 일수립수는 공히 3주 저농처리에 GA3 10ppm 처리가 최소치를 보였는데, 실제육종상 중요한 일수립수의 확보는 충분할 것으로 보였다. 5. GA3 농도와 주요 형질과의 상관은 1주 저온처리시 각 형질들과 모두 상관 관계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2주 저온처리에서는 고도의 부상관이 인정되었고, 3주 저온처리에서는 출수일수를 제외한 모든 형질이 부의 상관이 있었다. 6. 저온처리 기간과 주요 형질들과의 상관은 GA3 무처리시 간장만 유의적인 부의 상관이 있었고, 기지 상관이 없었으며 GA3 1, 10ppm 처리시 모든 형질이 고도의 부상관이 있었다.다.

Immature embryos were tested for investigating the effect of cold treatment duration and GA3 concentration on the vernalization response in barley. Immature embryos were cultured on B5 medium with GA3 for 5 days, and were transplanted under 20/15~circC temperature after cold treatment. Germination rate and shoot length were increased more in 20-day-old embryos than those in 13-day-old ones but germination day was decreased. Addition of 1 or 10 ppm of GA3 to B5 medium was effective on the growth of immature embryos. The higher GA3 concentration was, the shorter time from embryo culture to flag leaf emergence and heading was. The earlist flag leaf emergence and heading were showed on treatment of 1 or 10 ppm of GA3 , but GA3 did not completely replace vernalization. The days to flag leaf emergence of immature embryo-cultured barley with cold treatment for two and three weeks was shortened by 3 and 18 days at 1 ppm GA3 , and 16 and 20 days at 10 ppm GA3 , respectively, when compared to 0 ppm GA3 culture with cold treatment for three weeks. It was at 10 ppm GA3 with 3 weeks cold treatment that showed the lowest culm length, spike length and number of grain per spike. GA3 concentration was not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each character in 1 week cold treatment, but was significant with each character in 2 weeks. In 3 weeks cold treatment, it was except for days to heading. Correlation between cold treatment duration and culm length was negative in 0 ppm GA3 . In 1 or 10 ppm of GA3 , all characters had highly negative correlation with cold treatment duration.n.

저자
  • 白城凡(축산시험장) | 백성범
  • 李鍾淏(작물시험장) | 이종호
  • 金興培(동국대학교 농학과) | 김흥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