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육성년도가 다른 벼 품종의 생육 및 수량특성 KCI 등재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Rice Varieties Developed in Different Yea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77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벼의 시대적 장려품종들 사이의 수량형질이나 생리적 형질에서의 변화를 살펴 육종에 의한 수량증대의 원인을 밝히고, 생리적 형질의 개량을 통한 수도 수량증대 방안을 찾아 보고져 행하여졌다. 1911년부터 1988년도 사이의 8기의 장려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한 후 수량형질들을 조사하고 생장해석을 통해 생리적 형질들의 값을 측정하여 품종변천에 따른 이들 형질들의 변이를 비교하였다. 최근에 올수록 장려품종들의 간장은 짧아 졌으며 '70년대 이후의 품종들의 등숙률이나 수확지수는 그 이전의 품종보다 높아 졌으나, 주당수수, 수당입수, 그리고 년입중의 변이에서는 시대적 품종변천에 따른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순동화율, 엽면적비율, 상대엽면적, 그리고 엽중비율에 있어서도 최신 품종에서 아무런 개량을 찾아 볼 수 없었으며 육종을 통한 수도의 수량증대가 있었다면 그것은 주로 도숙병 저항성 품종 육성이나 단간종의 개발에 따른 도복 감소를 통한 등숙율의 향상과 수확지수의 증대에 기인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수량증대를 위해서는 순동화율의 증대와 수확지수의 증대가 병행하여 이루워 지는 것이 필요하며 광투과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도복이 억제되는 한 장간종을 육성하는 것이 중묘할 것으로 나타났다. 순동화율은 엽면적비율과 부의 상관관계가 있어서 이들을 동시에 증대시키는 것은 어려울 것으로 생각되나 순동화율이 상대생장율에 미치는 기여도는 엽면적비율의 그것보다 커, 순동화율이 높은 품종선발이 보다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엽중비율의 증대를 통한 엽면적비율의 증가가 상대생장율을 높이는데 보다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33.5%의 범위였다.러운 특성을 나타냈으나, IR24의 경우는 일정 경향이 없었다. 분상질미와 심백미의 증편부피는 원품종에 비해 대체로 크게 나타났다. 8. 알콜발효 과정 중 당도 저하는 변이체들 특히 분상질에서 빨리 일어났고, 발효 10일 후의 알콜생성량도 원품종에 비해 변이체들에서 높게 나타나서 분상질미는 양조용으로서의 이용성이 크게 기대되었다. 9. 화청벼와 IR24에서 유래한 분상질 배유유전자들의 대립성 검정결과 서로 다른 3개의 유전자좌를 탐색하였으며, 그 유전자들을 각각 flo-a, flo-b, flo-c로 표시하였다. 10. flo-a 유전자는 IV번 연관군의 lg(liguleless ; 무엽설) 유전자와 5.76± 1.72%(상반)로 연관되어 있었다.량 비는 보통직에서 최고비도, breakdown 및 breakdown / setback치와, 만식에서 손실정접 및 동적빙성율과 고도의 부의 상관을 보였다. viscogram특성 상호간에는 두 작기에서 모두 서로 밀접한 상관성을 보였다. 6. 식미와 관련성이 높다는 이화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집약분석법에 의해 공시품종들을 두 개 군으로 대별해 볼수 있었는데 한ㆍ일 양국의 양식미품종들이 서로 다른 군에 속했다.aven′t heard about dental health. 4. The rate of persons who experienced oral diseases during 1 year period was 76.1 percent, and that of the educated was 19.9 percent and that of

This study was conducted 1)to determine the factors responsible for the gradually increased rice yield by examining any improvements in yield-related characters and physiological characters among the historically recommended varieties of rice in Korea, and 2)to reveal the way of achieving further yield improvement by breeding in the future. Eight recommended varieties from 1911 to 1988 were selected and grown at the same conditions. The yield-related characters were observed at the harvest time, and the physiological characters such as RGR, NAR, LAR, SLA and L WR were estimated by the classical method of growth analysis. The newer varieties are shorter and those released after 1970's are greater in percent of filled spikelets and harvest index than the older varieties. There are no definite changing trends in the variations of number of panicles per hill, number of spikelets per panicle and 1000 grain weight according to the course of evolution in the recommended varieties. There is little evidence of improvement in the physiological characters such as NAR, LAR, SLA and LWR among the recently developed varieties compared with those of the older varieties. The increase in grain yield due to variety improvement, if any, is largely associated with the greater harvest index and percent of filled spikelets by breeding blight resistant and / or lodging resistant genotypes with short culm. It is suggested that increase in NAR should be carried out simultaneously with increase in harvest index to breed high yielding genotypes. I t appears to be important to breed genotypes with long culm in order to enhance light penetration into the canopy as long as they are lodging resistant. Since NAR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LAR, it is unlikely to succeed to improve both characters simultaneously. The direct effect of NAR on RGR by path analysis is much larger than that of LAR, and hence it is suggested that breeding genotype with large NAR is more effective on enhancing RGR. It is also suggested that improving LAR through LWR is likely effective on increasing RGR.

저자
  • 林俊澤(순천대학교 자원식물학과) | 임준택
  • 申東永(순천대학교 자원식물학과) | 신동영
  • 金鶴鎭(순천대학교 자원식물학과) | 김학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