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양질콩 품종육성을 위한 고함황단백질 및 Iopoxygenase 저활성도 품종의 탐색과 그의 유전 및 선발효과 1. 고함황 아미노산 품종의 탐색과 그의 유전 및 선발효과 KCI 등재

Studies on the Search for Varieties of higher Sulfur-Containing Protein with Lower Lipoxygenase Activity and their Inheritance and Selection Efficiency for the Breeding of Good Quality Soybean Cultivar : 1. Search for Varieties with Higher Sulfur-Containi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80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콩의 함황아미노산 함량의 향상을 위한 유전육종학적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서울대학교 농학과에서 유지해오고 있는 품종 및 계통과 국내 수집 계통 등 518점을 공시재료로 하여 황함량을 분석조사하고 아울러 함황단백질, 함황아미노산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황함량의 유전현상과 잡종초기세대에 있어서의 황함량의 선발효과를 분석조사하였다. 종실중의 황함량은 재배중은 0.20~0.45%의 변리로 평균함량은 0.33%였고 국내 수집 야생콩(30계통)은 0.19~0.62%의 변이로 평균 0.35%였다. 종실중의 황함량은 함황단백질 및 함황아미노산과 각각 r=0.924**, r=0.974**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종실 특성 및 생육 특성 구분에 의한 품종 또는 계통군의 황함량은 성숙이 늦은 것, 종피에 피분이 존해하는 것, 푸른 자엽색인 것들의 황함량평균이 높았으며 종실중의 황함량과 당함량 및 100립증과는 각각 r=-0.312**, r=-0.383**의 유의상관을 나타냈다. 종실중 황함량의 유전현상은 양적형질의 유전현상을 나타냈으며 황함량을 높이는 상가적효과가 우성효과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고 종실중의 황함량을 높게하는 유전자와 낮게하는 유전자의 분포비율은 비슷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리고 추정된 협의의 유전력과 광의의 유전력은 0.75(Hn), 0.88(Hb)로 나타났고 선발효율은 고, 저 양방향으로의 조기세대 선발에 의해 높은 방향의 선발에서 14.7~18.8%가 높아졌고, 낮은 방향의 선발에서 8.8~15.6%가 저하되었으며 모든 경우 유의하게 선발효과가 있었다.

The contents of sulfur, sulfur-containing protein and amino acids of soybean seeds of 518 genotypes as well as their inheritance and selection efficiency in early breeding generation were measured to facilitate breeding for soybean with high sulfur-containing amino acids. Average seed sulfur content of 518 cultivars was 0.33%, and ranged from 0.20 to 0.45%, and that of 30 wild soybeans was 0.35%, and ranged form 0.19 to 0.62%.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seed sulfur content and sulfur-containing protein and amino acids were 0.924** and 0.974** , respectively. Seed sulfur content was tended to be high in soybean genotypes with late maturity, seed coat bloom, or green cotyledon. Sulfur content had -0.312** correlation coeficient with sugar content and -0.384** with 100 seed weight. Seed sulfur content was inherited quantitatively, in which additive effect was greater than dominant one, and proportion of genes with positive effects was similar to those with negative ones. Estimated narrow- and broad-sense heritabilities were 0.75 and 0.88 for seed sulfur content, respectively. Heritability measured from selection in early breeding lines for high or low seed sulfur content was 60~62.5% or 50~62,5%, respectively. And selection for high sulfur content increased by 14.7~18.8%, whereas that for low one decreased by 8.8~15.6%, when compared to that of random population. Therefore selection in early generation seemed to be clearly effective.

저자
  • 李弘䄷(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이홍석
  • 朴義浩(영남대학교 농축대학) | 박의호
  • 具滋煥(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구자환
  • 沈載昱(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심재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