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야생보리(Hordeum bulbosum)의 주요 특성 및 이를 이용한 보리 반수체육성 KCI 등재

Major Characteristics of Hordeum bulbosum and Haploid Production of Cultivated Barley by Pollinating with H. bulbosum 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80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Hordeum bulbosum에 의한 보리 반수체 이용육종은 단기간에 목적 형질을 고정하는 일반적인 이점 외에 세포학적으로 안정된 많은 반수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기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 방법의 실용화을 제고하기 위한 방법을 체계화하기 위해 일년의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우선, H. bulbosum의 여러 형질의 특성 및 재배종과의 교배시 유배형성율등을 조사하였다. H. bulbosum은 H. vulgare에 비하여 간이 가늘고 간장이 길며 세엽이나, 수장이 길고 수당영화수가 2배이상 많으며 수장개화일수가 3배이상 길었으며, H bulbosumrks에는 차이가 적었다. H. bulbosum중 4배체는 2배체에 비하여 유배형성율은 8%, 식물체 발생율은 2배이상 높으나 염색체의 일부가 완전히 소실되지 않으므로 보리의 반수체를 이용한 육종에는 활용할 수 없는 것으로 인정되었다.

Bulbosum method, which haploids are developed by pollinating with H. bulbosum have been productive to be recommended as an effective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genetically stable normal barley hybri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everal characters of H. bulbosum, seed set and embryo development rate pollinated with H. bulbosum in order to establish a method for improvement of embryo development and to find conditions favoring plant development from the embryos cultured in vitro. Three lines of H. bulbosum used as pollinators: GBC(2~times ), Spenish diploid(2~times ) and var. Jaaska (4~times ) were morphologically similar, having characteristically narrow leaves, narrow and long culms, long spikes and anthesis duration in comparison with H. vulgare. H. bulbosum, var. Jaaska(4~times ) on being pollinated to barley cultivars, increased embryo formation by 8% and plant development in vitro by three times compared to the other diploid lines. the plants developed were not normal barley hybrids but had some H. bulbosum chromosomes uneliminated, indicating that the line was unstable as a pollinator to induce barley haploids.

저자
  • 鄭東熙(작물시험장 목포지장) | 정동희
  • 閔庚洙(전남대학교 농과대학) | 민경수
  • 千鍾殷(순천대학교 농과대학) | 천종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