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파종기와 예취시기가 답리작 호밀의 생육 및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Sowing Date and Cutting Time on Growth and Dry Matter Yield of Rye in Paddy Fiel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86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충남 예산지방에서 호밀을 답리작으로 재배할 때 파종기가 생육, 수량 및 식물체 부위별 건물구 성비율에 미치는 영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예산지방에서 파종기가 11월 5일 이후로 늦어지면 호밀의 출현일수가 길어지고 출현율 및 월동율이 감소하며 출수기가 지연되었다. 2. 호밀의 생장속도는 파종기가 빠를수록 증가하였고 파종기가 11월 5일 이후로 지연됨에 따라 생육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3. 호밀의 청예 및 건물수량은 파종기가 빠를수록 증가하나 다른 지역에서보다 파종적기의 폭이 넓어서 10월 5일에서 10월 25일 사이의 파종기간 차가 크지 않았다. 청예수량은 개화기 예취시, 건물수량은 유숙기 예취시 가장 높았다. 4. 호밀의 식물체 부위별 건물구성비율은 파종기가 빠를수록 그리고 수확시기가 늦을수록 엽신과 엽초의 비율이 감소하고 줄기와 이삭의 비율은 증가하였다.

The objective of experiment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wing dates on forage yield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rye in paddy field cultivation in midwest region of Korea. The field experiment treated with 5 levels of sowing dates was carried out at Yesan from october 1990 to june 1991. The field emergence rate and winter survival rate were decreased with delay in sowing dates by the days from sowing to emergence were took a long period of time. The crop growth rate were increased with early in sowing date. The fresh and dry weight of rye were increased with early in sowing dat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owing date from Oct. 5 to Oct. 25. The highest fresh yield was obtained at flowering stage and the highest dry yield was obtained at milky stage. The ratio of leaf blade and leaf sheath in rye plant were decreased with earlier sowing date and delayed harvest, but the ratio of stem and inflorescence was vice versa.

저자
  • 金昌護(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 김창호
  • 金成敏(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 김성민
  • 蔡濟天(단국대학교 농과대학) | 채제천
  • 李孝遠(한국방송통신대학) | 이효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