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단마의 번식기관, 재식거리 및 시비량이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Planted Organ, Planting Space, and Fertilizer Level on Growth and Yield of Chinese Yam (Dioscorea opposita Thunb.)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89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본 실험은 단마의 번식기관별 재식거리 및 시비량이 마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져 1992년부터 1993년까지 경북농림진흥원 북부시험장에서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아일수는 절편묘 42~56일, 여두묘 37~46일, 영여자묘 50~56일로 나타나 여두묘가 가장 빨랐으며, 시비량이 많을 수록 출아가 지연되는 경향이었다. 2. 지상부 생육은 사용한 종묘가 절편묘, 여두묘, 영여자묘 순으로 아장이 길었으며, 밀식하면 마디수가 다소 적은 경향을 보였고, 전체적인 지상부의 생육은 절편묘를 종근으로 하여 재식거리 60×20cm에 NP2O2K2O 를 56-56-64kg/10a로 시용하는 것이 가장 양호하였다. 3. 지하부의 생육은 괴근장, 괴근폭, 괴근수 및 괴근중 모두 절편묘, 여두묘, 영여자묘의 순으로 양호하였고, 재식거리에 따른 괴근생장은 밀식할수록 괴근장, 괴근폭, 괴근중이 적어지는 경향이었고, 시비량이 많을 수록 개체당 무게가 증가하였다. 4. 수량은 절편묘를 30×20cm로 밀식하면 60×20cm에 비해 평균적으로 19%의 증수효과가 있었고, 여두묘는 45×15cm에 비해 30×15cm가 10% 증수되었으며, 영여자묘는 30×10cm에 비해 10×10cm가 10%정도 증수되었다. 적품성은 절편묘, 여두묘, 영여자묘 순으로 우수하였으며 시비량에 있어서는 N-P2O2K2O =28-28-32kg/10a에 비해 56-56-64kg/10a 처리가 37~47%감수되었다. 따라서 단마 재배시 다식밀식으로 재배하는 것이 수량증수의 효과가 있었으나 적품성을 고려할 때 절편묘는 45×20cm, 여두묘는 30×15cm, 영여자묘는 20×10cm로 재배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optimal fertilizer application levels and planting space at different seeding parts on Chinese yam from 1992 to 1993. The results obtained was as follows: The earlist day to emergence was 42~56 days at tuber section, 37~46 days at an aerial tuber, and 50~56 days at an exposed parent material. in turn. The days to emergence were delayed by increasing fertilizer application levels. In the growth of the under-ground parts, vine length was increased in a tuber section, aerial tuber, and an exposed parent material in turn. The tuber section by 60~times 20cm at planting space, 56-56-64 Kg/10a at fertilizer application levels was appeared to be good growth among underground parts. As planted close, the growth of tuber section was decreased. The totoal yield was appeared to be increased about 19% in a tuber section planted as 30~times 20cm compared with 60~times 20cm. In an exposed parent ma-terial, the planting space, 30~times 15cm, was increased 10% compared with 45~times 15cm, and in an aerial tuber, the planting space, 10~times 10cm, was increased about 10% comparing 30~times 10cm. Fertilization level(N-P2O2K2O ) in 56-56-64Kg/10a was increased 39 to 47% comparing 28-28-32 Kg/10a. And the heavy dressing and the close planting space were appeared to be produced the highest yield. In considering commercial quality, the optimal combination between seeding parts and planting space is recommended to improve commercial qualities and high yield.

저자
  • 趙知衡(경북농촌진흥원) | 조지형
  • 權泰龍(경북농촌진흥원) | 권태용
  • 閔基君(경북농촌진흥원) | 민기군
  • 李承弼(경북농촌진흥원) | 이승필
  • 崔富述(경북농촌진흥원) | 최부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