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건답직파에서 파종심도와 관개조건에 따른 벼 품종들의 출아특성 KCI 등재

Seedling Emergence of Dry-seeded Rice under Different Sowing Depths and Irrigation Regim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90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건답직파에서 파종심과 파종후 관개에 의하여 경도를 달리한 조건에서 벼 품종들의 출아와 유아 신장 특성을 비교검토하였다. 우리 나라의 재래도, 샤레벼 및 통일계와 일반계 육성품종, 미국, 이태리, 인도 품종 등을 포함한 46개 품종을 공시하였으며, 파종심은 1, 3, 5cm로 하였고, 파종후 계속 관개를 하지 않은 처리와 파종후 14일에 고랑에 관개를 한 처리를 두었다. 실험은 사양토의 야외 포장에서 실시하였으며 파종 다음날에 B9.2mm의 소나기성 강우가 있었고 그 후는 맑은 날이 지속되었다. 실험기간 30일간의 평균지온은 16. 5C 내외였다. 1. 파종후 토양의 경도는 직선적으로 증가하여 파종후 14일에는 2. 5kg/cm2 에 달하였으며 무관개구는 이후 계속 증가하여 4kg/cm2 에 이르렀고, 관개구는 관계후 0kg/cm2 가까이 까지 낮아졌다가 다시 증가하여 파종후 28일 경에는 2.5kg /cm2 에 달하였다. 2. 파종심도에 관계없이 출아율은 관개구가 무관개구보다 높았다. 1cm 파종심에서 품종간 출아율의 차이는 관개구에서는 크지 않았으나 무관개구에서는 차이가 컸다. 우리 나라 육성 품종들은 모두 무관개구에서 출아율이 현저히 낮았는데 이는 출아 속도가 느려 토양의 경화가 상당히 진전된 후에 출아하였기 때문이었다. 3cm와 5cm 파종심에서 출아율은 관개구와 무관개구 사이에 고도로 유의한 상관이 있었는데, 우리 나라 육성품종들은 관개 및 무관개 조건에서 모두 낮은 편에 속하였으며 , Italicona-verneco, Chlnsura Boro, Weld Pally 등이 출아가 양호하였다. 3. 1cm 파종심의 무관개구에서 50%출아일수는 8일~30일의 큰 품종간 변이를 보였는데 Italiconaverneco, Chinsura Boro, Tebonet, 다 다조 등이 10일 내외로 가장 빨랐으며 우리 나라 품종들은 모두 20일 이상으로 출아 속도가 느렸다. 출아속도는 1cm 파종심의 무관개구, 3cm와 5cm 파종심의 관개 및 무관개구의 출아율과 고도로 유의한 부의 상관이 있었다. 4. 제2절간장을 제외한 중배축장, 초엽장, 제1절간장 및 불완전엽장은 파종심간에 고도로 유의한 부의 상관이 있어서 낮은 파종심에서 신장이 잘되는 것은 깊은 파종심에서도 신장이 잘되었다. 중배축장은 제1절간장 및 불완전엽장과는 고도로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나 초엽장과는 상관이 없었으며, 불완전엽장과 초엽장간에는 높은 상관이 있었다. 5. 3cm 파종심에서 초엽이 지면을 뚫고 추출한 품종은 Italiconaverneco, Chinsura Boro, Weld Pally 뿐이었고, 5cm 파종심에서는 초엽이 지면을 뚫고 출아하는 품종은 없었으며 Chlnsura Boro가 지면하 0.5cm까지 신장하였을 뿐이었다. 3cm 파종에서 불완전엽이 지면을 뚫고 나오는 품종은 우리 나라의 샤레벼들, 다다조, 미국의 건답직파재배 품종 등이었으며 우리 나라 육성종들은 모두 지중에서 신장이 멈추어 제1본엽이 지중에서 추출하였으며, Scm파종심에서 불완전엽이 지면을 뚫고 나오는 품종은 Chinsura Boro뿐이었고 Nato, Labelle, Weld Pally, Italliconaverneco 등도 지면 가까이 까지 신장하였다. 6. 50% 출아일수는 제2절간장을 제외 한 모든 유아 형질의 신장도와 유의한 부의 상관을 보였는데 가장 높은 상관을 보인 것은 중배축장+제1절간장+불완전옆장이었으며, 다음이 불완전엽장이 었다. 7. 출아율은 중배축장+제1절간장+불완전엽장, 중배축장+초엽 장과 모든 파종심에서 높은 정의 상관을 보여 제1본엽의 추출 위치가 높을수록 출아에 유리하였다, 유아 형질별로 보면 3cm와 5cm 파종심 의 관개구에서는 불완전엽장과의 상관이 가장 높고, 다음이 초엽장, 중배축장의 순으로 높았으나 무관개구에서는 중배축장과의 상관이 가장 높고 다음이 제1절간장, 불완전엽장의 순으로 상관이 높았고 초엽장은 상관이 낮아 토양에 토막이 생기거나 경화되는 조건에서는 중배축과 제1절간이 잘 신장하는 품종이 추출력이 높아 출아에 유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Investigated were the relationships between plumule elongation characteristics and seedling emergence of 46 varieties including native, improved and red rice varieties of Korea, and varieties from U.S.A., Italy, India, Japan under 1, 3, and 5cm deep sowing with irrigated and non-irrigated condition.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paddy field of sandy loam. There was heavy shower of 19.2mm on the next day of seeding and thereafter, clear and dry weather continued during the experiment period. Soil temperature averaged over 30 days after seeding was 16.4~circC at 3cm depth. Soil hardness increased linearly up to 2.5kg /cm2 on the 14th day after seeding, on which date irrigated plot was irrigated through furrow, and up to 4kg / cm2 on the 28th day in non-irrigated plot. Soil hardness dropped near to 0kg /cm2 after irrigation and developed up to 2.5kg /cm2 again by 28 days after seeding. Seedling emergence was higher in irrigated plots than non-irrigated plots at all seeding depths. Korean improved varieties were substantially lower in seedling emergence under non-irrigated condition of 1 cm deep sowing than those under irrigated condition. This poor seedling emergence resulted mainly from delayed emergence by exposing them to greater soil strength. Percent seedling emergence under irrigated and non-irrigated conditio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at 3 and 5 cm deep sowing. Korean improved varieties belonged to the group of poor seedling emergence, and I taliconaverneco, Chinsura Boro and Weld Pally to best group under both irrigation conditions at 3 and 5cm deep sowing. Seedling emergence showed high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lumule length of mesocotyl + 1st internode + incomplete leaf and of mesocotyl+coleoptile. Among the characters constituting plumule length, incomplete leaf length showed greatest positive correlation followed by coleoptile and mesocotyl under irrigated condition at 3 and 5 cm deep sowing, and highest correlation with mesocotyllength followed by first internode and incomplete leaf under non-irrigated condition. Days to 50% seedling emergence at 1 cm deep sowing with irrigation showed great varietal variation of 10 to 30 days, and showed high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percent seedling emergence under both irrigation conditions except for 1 cm deep sowing with irrigation, Days to seedling emergence reveal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plumule characters except 2nd internode, showing highest cor-relation with incomplete leaf length,

저자
  • 明乙在(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학과) | 명을재
  • 李㳎雨(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학과) | 이변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