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아프리카 벼 Oryza glaberrima의 종실 이층조직의 발달과정과 등숙기간 중 탈립성의 변화 KCI 등재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Abscission Layer between Pedicel and Rachilla, and Changes in Grain Shedding during Ripening in African Rice, Oryza glaberrima Steu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90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아프리카 벼에 있어서 벼알과 소피경 사이에 형성되는 이층조직의 특이성에 따라, '부분이층', '불규칙이층' 및 '완전이층'의 품종을 각각 2품종씩 공시하여 유수형성 이후 유수와 영화의 신장에 따른 이층조직의 형성 및 발달과정을 해부형태학적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출수후 수확기까지 등숙과정에 있어서 탈립성정도의 변화와 이층조직과의 관계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아프리카 벼의 유수와 영화는 출수전 15일 이후 급격한 신장을 보여 출수전 5일 경에는 출수기와 거의 동일한 길이로 신장되었다. 출수전 15일 경에는 작은 유조직세포로 구성된 이층조직의 형성부위를 인정할 수 있었는데, 부분이층의 외영쪽에는 이층조직의 형성부위를 인정할 수 없었고, 불규칙이층의 외영쪽에는 부분적으로 집단화되어 있는 소형의 유조직세포들을 관찰할 수 있었다. 출수전 10일경 이층조직 주변의 세포들은 세포벽이 식후하고 목화되어 1-2층의 유조직세포로된 이층조직을 더욱 뚜렷하게 구분할 수 있었는데, '부분이층'의 외영쪽에는 후벽조직속에 1-2개의 유조직세포가 혼재되어 있었고, '불규칙이층'의 외영쪽에는 불규칙하게 집단화된 유조직세포를 관찰할 수 있었다. 아프리카 벼에 있어서는 출수후 2주째 벼알의 등숙이 수확기와 거의 비슷하게 진전되었는데, 이때 이층구조의 붕괴현상 관찰할 수 있었으며, 또한 벼알과 소피경 사이의 인장강도도 수확기와 동일하게 저하하였다.

Six African rice varieties, two each from three types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partially, irregularly, and completely developed abscission layers, were selected and grown 1) to investi-gate the histological differences during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abscission layers and 2) to evaluate the changes in the breaking tensile strength required to detach a grain from its pedicel dur-ing ripening period in relation with developmental stage of the abscission layers. In African rice, the panicle and spikelet grew rapidly from 15 days before heading and almost completely grown in length at five days before heading. The abscission regions were recognized at 15 days before heading. However, any apparently developed abscission layers were not recognized in the lemma side for partially developed abscission layers. A group of parenchymatous cells could be observed sporadically in the abscission layers of the lemma side for irregularly developed ab-scission layers. At ten days before heading, abscission layers consisting of one or two layers of parenchymatous cells were clearly distinguished from neighboring cells due to thickened and lignified cell walls. There were a number of individual parenchymatous cells scattered sporadically in the lemma side of partially developed abscission layers, and a number of grouped parenchymatous cells scattered randomly in the lemma side of irregularly developed abscission layers. At two weeks after heading, the grains became almost fully filled. The cracking of abscission layers between rachilla and pedicel was observed, and the breaking tensile strength required to detach a grain from its pedicel was as low as that at harvest time.

저자
  • Il Doo Jin | 진일두
  • Yeong Hwan Bae | 배영환
  • Jun Inouy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