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시식 후 물관리 방법이 실소의 동태 및 이용효율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Water Management after Fertilizer Application on Fate and Efficiency of Applied Nitroge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91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이질 1개월전 시비 후 물관리방법에 따른 대소의 동태 및 이용효율을 비종별로 검토하고자 복비 노적인 13-10-11(F-1), 수도기 비용복합비료인 21-17-17(F-2), 벼 복합비료인 15-10-10(F-3)를 공시하여, 30일간 무항수(0dF), 10일 담수한 다음 20일 방치 (10dF), 20일 담수한 다음 10일 방치(20dF), 30일 담수(30dF)하는 처리를 하였으며 시비후 30일부터는 모든 처리에 계속 담수를 하는 방법으로 물관리를 하면서 침투수로 변탈된 질소량, 토양의 무기태질소량를 정량하였고, 대기중으로 손실된 질소량을 추정하였다. 담수기간 중 관개수의 침투율은 2.5mm/일로 하였다 벼의 대소 이용효율은 시비후 40일에 이질하고 관수상태에서 벼를 재배하여 이앙후 72일에 평가하였다 1. 침투수의 pH는 천수기간이 길수록 상승하였으며, F-2에서 가장 높았고, F-1과 F-3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2. F-1의 토양중 전질소함량은 초기에는 완만히 감소하였으나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F와 F는 초기에 급속히 감소한 후 완만히 감소하였으며, 담수처리기간이 길수록 전질소 함양은 빨리 감소하였다. 3. 시비 63일 후에 토양에 남아 있는 무기태질소의 시용대소에 대 한 비 을은 F-1, F-2, F-3에서 각각 23, 29, 29.1%였고, 무담수처리는 45.0%, 10dF, 20dF, 30dF에서 는 각각 26.6, 24.8, 20.3%로 담수처리기간이 짧을수록 높았다. 4. 시비후 63일동안 침투수로 호탈된 질소의 시용질소에 대한 비을은 F-1, F-2, F-3에서 각각 51.3, 32.1, 48.1%였으며, 담수직후 급격히 유실되었고, 0dF, 10dF. 20dF, 30dF에서 각각 25.7, 29.8, 32.7, 35.8%로 담수기간이 길수록 높았다. 5. 시비한 다음 벼 이앙 72일후까지 시용질소의 손실량은 F-1>F-2>F-3의 순으로 많았는데, F-1은 침투수에 의한 손실이 가장 많았고 휘산에 의한 손실도 많았으며 F-2는 휘산에 의한 손실이 특히 많았기 때문이었다. 6. 시비한 다음 벼 이앙 72일후까지 물관리 방법에 따른 시용질소의 손실량은 20dF~geq 30dF>10dF>0dF의 순으로 많았는데, 20dF는 휘산에 의한 손실이 가장 많았고 침투수에 의한 손실도 많았으며, 30dF는 침투수에 의한 질소의 손실이 가장 많았기 때문이었다. 7 이앙 후 72일간 벼 지상부에 의한 시용질소이용율은 F-1, F-2, F-3에서 각각 23.2, 24.7,27.4%였고, 0dF, 10dF, 20dF, 30dF에서 는 각각 34.1, 25.5, 21.1, 21.2%로 담수기간이 짧을수록 높았다.

The fate and use efficiency of applied nitrogen were evaluated in a pot experiment with different fertilizers and water management practices during 30days after fertilizer application. N-P-K compound fertilizers, 13-10-1l(F-l) for upland Crop use and 15-10-10(F-3) for rice Crop use, and mixed fertilizer, 21-17-17(F-2) for basal dressing in rice were used. Fertilizers corresponding to 1.8g N were mixed thoroughly with the whole volume of sandy loam soil in a pot. The pots were flooded upto 3cm above soil surface for O(0dF), 10(10dF), 20(20dF), and 30(30dF) days after fertilizer application and all the treatments were flooded continuously from 30 days after fertilizer application. During the flooding period water percolation rate was adjusted to 2.5mm/day. Rice seedlings were transplanted 40 days after fertilizer application. The pH of infiltrated water increased with increasing duration of flooding. The pH of F-2 was higher than those of F-1 and F-3 between which there were no differences. The applied nitrogen remained 23% in F-1, 29% in F-2, and 29.1 % in F-3, and 45.0% in 0dF, 26.6% in 10dF, 24.8% in 20dF, and 20.3% in 30dF as inorganic nitrogen at 63 days after fertilizer application. Nitrogen losses by leaching amounted to 51.3%, 32.1% and 48.1% of applied nitrogen in F-1, F-2 and F-3, respectively. Nitrogen leaching losses increased with increasing duration of flood- ing, amounting to 25.7%, 29.8%, 32.7%, and 35.8% in 0dF, 10dF, 20dF and 30dF, respectively. Gaseous loss of applied nitrogen was greatest in F-2, followed by F-1 and F-3. Total loss of nitrogen due to gaseous volatilization and leaching was greatest in F -1, followed by F -2 and F-3, and were greater in the treatments with longer flooding after fertilizer application. Nitrogen recovery by rice shoot until 72 days after transplanting were 23.2%, 24.7% and 27.4% of applied nitrogen in F-1, F-2 and F-3, respectively and 34.1%, 25.5%, 21.1%, and 21.2% in 0dF, 10dF, 20dF and 30dF, respectively.

저자
  • 李㳎雨(서울대학교 농생대 농학과) | 이변우
  • 明乙在(서울대학교 농생대 농학과) | 명을재
  • 崔官鎬(경기화학공업주식회사) | 최관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