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벼 재배양식에 따른 유효성 비료의 시용량이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Slow-release Fertilizer Levels of Rice in Different Cultural Method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98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본 시험은 호남영농시험장 수도포장인 미사질토양에서 만금벼를 공시하여 건답직파재배와 어린모기계이앙 재배에서 완효성 비료와 속효성 비료 시용시 재배유형별 적정시비량과 생육특성을 비교 검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완효성 비료시용은 시용 후 토양에 인산과 양이온 함량 및 C.E.O. 함량이 다량 잔존하였다. 2. 재배유형간 간장과 경수는 완효성 비료가 건답직파보다 어린모기계이앙재배에서 초기생육을 더욱 조장시켰고 같은 질소 시비량에 속효성 비료를 기비에 20% 추가 시용한 것이 재배유형 모두 우수하였다. 3. 건물중비율(출수기)은 어린모기계이앙이 건답직파보다 그리고 속효성 시료가 완효성 시료보다 높았으며 속효성 100% 또는 완효성 100% 시용보다는 완효성 80% + 속효성 20% 추가구가 건물 중비율이 높았다. 4. 엽면적지수(출수기)는 속건성 비료에서는 건답직파보다 기계이앙재배가 높았으나 완효성비료에서는 건답직파가 높았으며, 비종별 엽록소함량은 완효성 비료가 속효성 비료보다 높게 함유하였으며 생육시간별로 보면 속효성 비료는 분얼기와 유수형성기에는 큰 차가 없었고 출수기에 가장 많이 함유하였으며 출수이후에 급격한 감소를 보였으나 완효성 비료는 속효성 비료와는 달리 분얼기에도 높았고 유수형성기에서 보다 많이 함유하였으며 출수이후 황열기까지 완만한 감소를 보였던 바 두 재배유형이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5. 출수기는 건답직파가 기계이앙보다 2일 지연되었고 관행(속효성 100%이앙 어린모기계이앙)대비 완효성 비료는 어린모기계이앙에서는 2∼3일, 건답직파에서는 4∼5일이 지연되었고 간장은 속효성 비료에서는 기계이앙이, 완효성 비료에서는 건답직파가 컸다. 6. m 당 수수는 건답직파에서 많았고, 완효성 비료에서 많았으며 등숙율은 기계이앙재배가 건답직파보다, 속효성 비료가 완효성 비료보다 높았다. 7. 수량은 실행(516kg/10a)대비 속효성 비료의 100%와 80% 수준에서는 건답직파가 101%와 100% 그리고 어린모기계이앙은 80% 시비에서 6% 감수되었으며, 완효성 비료에서는 건답직파에서는 2∼4%, 기계이앙에서는 0∼3%의 증수를 보였다. 각 재배유형별 시비량간의 수량 순위는 기계이앙재배에서는 100% =80% + 20% > 100% + 20% > 80% 순이었고, 건답직파에서는 80% + 20% > 100% > 80% =100% + 20% 순으로 완효성 비료를 20% 감비시 속효성 비료 20% 추가구가 수량이 높았다.

To find out the optimum application method of slow-releasing fertilizer(SRF) and conventional fertilizer(CF) with different fertilization rate under two culture methods[l0-day old seedling machine transplanting(MT) and direct-sowing on dry paddy(DS)] in the south-western region(clay loam soil) of Korea, used were Chosun slow-releasing fertilizer(silicate latex coated fertilizer: N-P2 O5 -K2 O =18-12-13) and conventional fertilizer. Plant height and number of tillers with different two culture methods were higher at MT than DS in early growth. The ratio of dry weight in heading stage was higher at CF than SRF in MT than DS and especially, SRF 80% + CF 20% than SRF 100% or CF 100%. Leaf area index (LAI) in heading stage was higher at CF in MT but higher at SRF in DS than their counterparts. Chlorophyll content was higher at SRF than in CF expect for heading stage(HS), especially in DS. It was highest at HS in CF without its difference during maximum tillering stage(MTS) and panicle formation stage(PFS), while highest at PFS in SRF with tendency of gradual increase and decrease before and after PFS, respectively. Heading was delayed 2~3 days at SRF in two cultrue methods and 4~5 days at SRF in DS in comparison with CF in MT with delay of 2 days at DS compared with MT. Culm length was longer at CF in MT and at SRF in DS than their counterparts. Panicle number per m was more at SRF and in DS. Filled grain ratio was higher at CF and in MT. Yield was obtained 101 and 100% at 100% and 80% level of SRF in DS respectively, and 96% at 80% level of CF in MT, compared with conventional application method (516kg /l0a), and increased 2~4% at DS and 0~3% at MT in SRF. Yield was high in order of 100%(SRF) =80%(SRF) + 20%(CF) > 100%(SRF) + 20%(CF) > 80%(SRF) at MT and 80%(SRF) + 20%(CF) =100%(SRF) > 80%(SRF) =100%(SRF) + 20%(CF) at DS.

저자
  • 李善龍(호남농업시험장) | 이선용
  • 崔旻圭(호남농업시험장) | 최민규
  • 崔元永(호남농업시험장) | 최원영
  • 鄭鎭一(호남농업시험장) | 정전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