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벼 건답직파 재배시 심수관개가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Influence of Deep Flooding on Rice Growth and Yield in Dry-seeded Paddy Fiel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10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본 시험은 관개방법에 따른 벼의 생육조절 효과를 구명코자 직파재배답에 관행관개, 심수관개 및 절수관개 등의 3가지 처리로 검토하였던 바 몇가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관개방법간 m2 당 최고분벽수는 관행관개 551개, 절수관개 466개, 심수관개 455개로 심수관개에서 가장 적었으나 유효경 비율이 88%로 매우 높게 나타나 최고분얼기때 무효분벽이 상당히 억제되었다. 2. 출수기는 심수관개가 절수관개보다 약 4일 정도 지연되었고, 출수후 함량은 심수관개에서 높게 유지되어 출수지연과 더불어 생육지속효과가 현저하였다. 3. 관계방법에 따른 벼의 형태적 특성 변화를 보면 지엽, 제 2, 3 엽장 및 엽폭 등은 심수 관개에 의하여 증대되는 경향이었고, 심수관개처리에서 간장이 약간 길어지는 경향이었다. 4. 심수관개는 특히 잎집이 발달하여 잎집을 포함한 줄기의 단직경 및 장직경이 커져 경이 굵었으며, 간기중이 무거워 상대적으로 도복에 대한 저항성이 증대되었다. 5. m2 당 수수, 등숙비율, 천입동등이 심수관개에서 증가하여 수량은 관행관개보다 약 11% 증수되었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clarify the effect of the deep water irrigation on dry-seeded rice cultivation at the three different water managements-deep continuous flooding(DCF), water saving irrigation(WSI), ordinary irrigation(OI). The highest tillering numbers per m2 of rice were 551, 466 and 455 in OI, WSI and DCF, respectively. The tillering number of rice plant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DCF. Heading date was delayed and the total chlorophyll content in leaf after heading was higher in DCF than those in other irrigation methods. For the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lodging, the culm length in DCF was slightly elongated and the diameter of culm in DCF was thicker than that in WSI and OI. The breaking weight and bending moment in DCF also were higher than those in others. As the result, although the culm length in DCF was long, the lodging index was comparatively low. The panicle length in DCF was longer than in OI and WSI. The spikelet number per m2 and 1,000-grain weight were the most in WSI, while panicle number, ripened grain ratio and grain weigh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Longer panicle length and more spikelet number resulted in higher yielding capacity in DCF.

저자
  • 元鐘建(경북농촌진흥원) | 원종건
  • 崔忠惇(경북농촌진흥원) | 최충돈
  • 李外鉉(경북농촌진흥원) | 이외현
  • 金七龍(경북농촌진흥원) | 김칠용
  • 李相哲(경북대학교 농과대학) | 이상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