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다량 뿌리혹 형성 콩 계통의 도입 개발 및 생육특성구명 1. 돌연변이유기에 의한 콩 초다뿌리혹형성 계통선발 KCI 등재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Supernodulating Soybean Muta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11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콩에서 돌연변이를 효율적으로 유기시킬 수 있는 적정 EMS농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황금콩, 장엽콩, 검정콩 001에 30, 50, 70mM EMS세 수준으로 처리 한 다음 M1 종자의 포장발아율과 M2 세대의 돌연변이체 출현빈도율을 조사하였으며 다량 뿌리혹형성 변이체 선발을 위하여 신팔달콩002 종자 약 18,000립에 30mM EMS를 처리하여 M2 세대에서 선발하고, 선발된 변이체의 뿌리혹 형성능력을 미국 초다뿌리혹형성 nts계통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M1 종자의 포장출현율은 검정콩 001가 황금콩과 장엽콩보다 높은 경향이었으며, 세 품종 모두 EMS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포장출현율이 낮았다. 2. M2 세대에서 돌연변이개체는 엽록소 결핍개체가 가장 많이 출현하였는데, 그외에도 생장점괴사, 엽이상, 엽수변이체, 단경 등 다양한 변이양상을 보였다. 3. 30mM EMS처리가 포장발아율도 높고, 돌연변이개체 출현율도 50, 70mM에 비하여 양호한 편으로 판단되었다. 4. 신팔달콩 002로부터 30mM EMS처리에 의하여 M2 세대에서 뿌리혹 형성 nts계통보다도 많은 뿌리혹이 형성되었으며, 뿌리혹형성도 일찍 시작되었다.

Development of soybean cultivars with great nodulation and high nitrogen fixation activity, derived mostly from mutagenesis, may decrease inputs of chemical fertilizer nitrogen into the soil-plant system. Soybean seeds (cv. Jangyupkong, Hwanggeumkong, and Geomjungkong 1) were treated with three different levels of EMS (ethyl methanesulfonate) concentration(30, 50, and 70mM). Increasing the doses of EMS resulted in decreased field emergence rate of seeds, whereas it did not increase M2 mutation frequencies. This indicated that the most efficient concentration of EMS was 30mM for generating mutants. Extensive mutagenesis of Sinpaldalkong 2 with 30mM EMS was undertaken to isolate soybean mutants with greater nodulation. Approximately 8, 200 M2 families were screened for greater nodulation on 5 mM nitrate after inoculation with Bradyrhizobium japonicum strain YCK213-KFCC-10728. Mutant SS-2 nodulated more than the wild type. Comparison of supernodulation between SS-2 and two nts mutants(nts 1007 and nts 1116) revealed that SS-2 showed the supernodulation character at an earlier growth stage than the two nts mutants. Further studies should be needed to characterize the difference in timing of nodulation between SS-2 and nts mutants.

저자
  • Hong Suk Lee(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이홍석
  • Young Am Chae(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채영암
  • Eui Ho Park(영남대학교 자연자원대학 농학과) | 박의호
  • Yong Wook Kim(동국대학교 생명자원대학 식물자원학과) | 김용욱
  • Kwang Il Yun(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윤광일
  • Suk Ha Lee(작물시험장) | 이석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