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벼 담수직파 및 콩 재배시 Methiocarb 종자 분의에 의한 새 피해 경감 효과 KCI 등재

Effect of Methiocarb as a Bird Repellent in Water-Seeding Rice and Soybean Field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13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벼 담수 직파재배와 콩 포장에서 조류 기피제인 methiocarb 50% WP의 처리에 의한 새 피해 경감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화성벼와 태광콩을 공시하고 약제의 양을 달리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실험 1> 벼 종자에 대한 methiocarb 처리에 따른 새 피해 경감 효과와 모의 생육 1) 벼 담수 직파재배에서 무처리구는 파종 후 2일에 12%, 3일 후에 37%, 5일 후에 50%의 새 피해가 발생하였으나, 벼 종자 5g 처리구는 4일 후에 35%, 5일 후에 39%의 피해가 있었고, 10, 15g 처리구는 파종 후 6일에 9% 정도이었다. 2) 벼 담수 직파재배에서는 파종 7일 후에는 초엽과 침엽이 출현함으로써 새에 의한 피해가 상당히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나서 새에 의한 피해방지는 파종 후 7일 이내가 중요하였다. 3) 약제 처리에 대한 벼 종자의 출아율은 종자 kg 당 methiocard 10g 처리구까지는 차이가 없었으나 15g 처리구에서는 유의하게 출아율이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파종 20일 후의 초장과 엽수는 종자 kg당 methiocarb 15g 처리구가 유의하게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실험 2> 콩에 대한 methiocarb 처리에 따른 새 피해 경감 효과 1) 콩 포장에서 새 피해 발생 정도를 경시적으로 조사한 결과 methiocarb 7.5g 처리구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콩 포장에 대한 methiocarb 처리에 의한 약해 정도를 경시적으로 조사한 결과 전 처리구에서 약해 발생은 관찰되지 않았다.

The bird repellent, methiocarb 50% WP, has been used to reduce the bird damage in the crop field in the European countries. The bird damage occaisonally would occur in the wet direct seeded rice and in soybean field, and resulted in decreasing the crop productivity by the reduction of seedling emergence rate. In this experiment, rice seeds, Hwasungbyeo(Oryza sativa), were coated with the different application rate of methiocarb, 5, 10 and 15 per kg seed, and soybean, Taegwangkong(Glycine max), 2.5, 5.0 and 7.5g. In rice, the seeds coated with 10 and 15g of methiocarb were not lost by bird, while those with 5g and control were lost to 37 and 50% of total seeds, respectively. No damage by birds was observed in rice seedling when the coleoptile and radicle of rice were emerged at 7 days after the water seeding. The crop injury of methiocarb reducing the emergence rate of seedlings, shortening the shoot length, and decreasing the leaf number was occurred at the treated of methiocarb 15g per kg seed. In soybean, the loss of the sprouting by birds was lower in the treatment of methiocarb 7.5g per kg seed than that in both the control and the treatments of methiocarb, 2.5 and 5.0g per kg seed. No crop injury by the treatment of methiocarb was observed in all application rate.

저자
  • 李哲遠(충북대학교 농과대학) | 이철원
  • 鄭奉眞(동부 한농화학) | 정봉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