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암기중단 처리시기에 따른 바위솔의 생장, 추대 및 개화 KCI 등재

Effect of Night-break Timing on Growth, Bolting and Anthesis of Orostachys japonicu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16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한방에서 항암제로 이용되는 바위솔의 주년재배를 모색하기 위한 일련의 시험으로서 2시간의 암기중단 처리시기[6월 20일 ; 7월 18일 ; 8월 15일 ; 무처리(자연일장)]에 따른 바위솔의 생육, 추대 및 개화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장과 개화장은 무처리에 l하여 암기중단 처리를 가함으로서 짧아졌다고 할지라도 암기중단 처리가 늦어질수록 길어졌다. 포엽을 포함한 주당 엽수도 초장과 개화장과 유사한 반응을 보였으나 7월 18일 이전에 암기중단 처리를 가할 경우 현저히 적어지는 경향이었다. 경직경은 암기중단 처리를 가할 경우 9월 중순∼10월 중순까지 증가한 후에는 변화가 없었으나 무처리에는 10월 중순 이후부터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작아지는 경향이었다. 2. 개체당 각 부위별, 지상부 및 전체 건물중은 무처리와 8월 15일에 암기중단 처리를 가할 경우 8월 15일 이후부터는 타처리에 비하여 많았으며 이는 8월까지는 엽과 포엽에 의하여, 9월 이후에는 소화중, 경중 및 근중의 증가에 기인되었다. 3. 무처리에서는 9월 중순부터 소화가 형성되기 시작한 후 10월 이후 이들이 급격히 개화하여 시작하여 10월 중순경부터 전개체가 개화하였다. 그러나 암기중단 처리가 빠를수록 소화의 형성이 지연되고 소화의 개화가 현저히 줄어들어 6월 15일부터 암기중단 처리를 가한 것은 시험 종료일인 11월 초순까지도 추대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소화가 형성되지 않았다. 4. 이러한 결과는 바위솔의 추대와 개화는 분리되어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암기중단 처리가 가해지는 시기를 조절함으로써 추대유제 또는 추대 후 소화의 개화유제로 인공재배되는 바위솔의 주년재배는 가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기를 통하여 항상 밀양 2003가 고시히카리보다 컸다. the canopies with more leaf mass, making MB the highest, HB the lowest, and DS in between. Relative humidity was over 90% in the night and dropped to 70% in the mid-afternoon, but vapor pressure within the canopy was highest at around 13:00 LST. Dew point depression was lowest and, combined with the temperature, the relative humidity was highest in HB. Mean period of wetting duration was in the order of DS>HB>MB, while the dew point depression was greatest in DS.ANCOVA, Pearson correlat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캠프 프로그램은 소아 당뇨병 환자의 자기 효능을 증진시키고 환자 역할 행위 이행을 높여주는데 효과적 이었다. 소아 당뇨병 환자의 자기 효능은 환자 역할 행위 이행과 순 상관 관계가 있어, 자기 효능이 증진될수록 환자 역할 행위 이행 정도가 높아졌다. 무조건 사주지 않는다(8.0%), 무조건 사준다(3.1%)로 식품광고에 나오는 식품 요구시 부모의 70.3%가 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절 이유는 건강에 나쁘다는 것이 가장 큰 이유였으며 강남과 강북 어린이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01). TV 식품광고와 건강과의 관계를 물어보았을 때 49.4%의 어린이가 TV에

Orostachys japonicus, Wasong as herb medicine, has been artificially cultivated as an anti-tumor medicinal.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f natural daylength as control or night-break treatment (NB) imposed at June 20, July 18 or Aug. 15 on its growth, dry weights of leaf and bract, stem, floret and root, and morphological characters including bolting and floret flowering. After a plant was grown in a 15cm plastic pot containing a 2 : 1 soil : peat moss mixture on May 23, three treatments with above differing night-break had been imposed around midnight up to Nov. 7. The plants were sampled 3 times at the same day forced to night-break and then done 6 times by 2-week interval after the final NB. Plant height and inflorescence length of all the NB increased with delayed NB but declined in comparison with the natural daylength. No. of leaves including bracts showed similar response to plant height although NB given before July 18 showed less leaves and bracts. Stem diameters of NB were continuously increased to middle Sept. to middle Oct. while that of natural daylength decreased after middle Oct. Natural daylength or NB given on Aug. 15 had greater fraction, shoot and total dry weights resulting from increment of leaf and bract up to Aug. or of floret, stem and root after Sept. The earlier NB, the later formation of florets and the less number of flowering florets whereas in natural daylength florets on inflorescence begun to be formed from middle Sept. were sharply increased up to middle Oct. when all the plants were flowered. Bolting was not formed in the plant of the earliest NB of June 20, and thereby no anthesis of florets up to early Nov. It was concluded that year-round cultivation of Orostachys japonicus plants was possible through controlling the NB timing because its bolting and flowering of florets separately occurred.

저자
  • 姜晋鎬(경상대학교 농학과ㆍ경상대학교 부속 농어촌개발연구소) | 강진호
  • 柳永燮(농림수산기술관리센터) | 류영섭
  • 姜信潤(경상대학교 농학과ㆍ경상대학교 부속 농어촌개발연구소) | 강신윤
  • 沈映道(경북대학교 농학과ㆍ경상대학교 부속 농어촌개발연구소) | 심영도
  • 金東一(경북대학교 농학과ㆍ경상대학교 부속 농어촌개발연구소) | 김동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