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건답직파 벼-보리 장기간 이모작 재배시 벼 수량 및 토양 물리화학성 변화 KCI 등재

Changes of Rice Yield and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Long-term Dry Seeded Rice-Barley Double Cropp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47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벼 단작 만기 및 보리후작 건답직파의 수량성과 토양물리 과학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영남농업시험장 답작포장에서 1990년부터 1999년까지 10년간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품종은 동해벼('90-'96), 금오벼2호, 화영벼('97-'98), 금오벼 1호, 영해벼('99)를, 작부방식은 벼 단작 만기직파와 보리후작 벼 직파를 하였고 보리후작 벼 직파는 보릿짚제거후 직파와 보릿짚 시용후 직파를 실시하였던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아일수는 보리후작 건답직파는 8~9일로 벼단작 직파 9 일과 비슷하였고 m2 당 적정 입모 확보는 문제가 없었으나, 벼 단작 직파보다 입모수의 변이가 약간 컸으며 파종후 15~35일 초기생육에 있어 엽수는 비슷하였으나 초장은 2.8-10.7% 억제되었다. 2. 출수기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고 초기 생육은 보리후작에서 약간 떨어졌으나 점차 회복되어 간장과 수장은 비슷하였으며 m2 당수수 증가로 영화수가 많았다. 3. 평균쌀수량('00~'99)은 보릿짚 시용구는 4.72 MT/㏊으로 벼 단작 직파보다 9%증수되었고 년차간 변이가 적었다. 4. 보리후작시 완전미 비율이 낮고 청미비율이 높아 품위가 떨어졌고 벼 단작과 비교시 이밀로즈함량, 단백질함량 및 Mg/K당량비는 비슷하였다. 5. 보릿짚시용시는 고상율이 낮아 토양공극율이 높고 토양 유기물이 증가되었으며('90(27.1 g/kg) → '99(보릿짚시용 : 36.1 g/kg, 벼 단작 : 25.5 g/kg)) 치환성양이온 Mg 및 K의 함량은 벼단작과 비슷하였으나 Ca함량은 증가 되었다.

Changes of rice yield and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dry-seeded rice-barley double cropping system were investigated for 10 years from 1990 to 1999. Generally, seedling stand was more unstable in the rice-barley cropping system regardless of barley straw addition or removal than in the rice single cultivation as indicated by higher standard deviation of seedling stand across year. Rice yield in rice-barley double cropping cultivation was increased due to barley straw application starting from the second year, recording 2 to 19% increase (average of 9% for 10 years) due to higher spikelet number. Protein content and Mg/K equivalent ratio were similiar among the barley straw applied field, rice single crop and barley straw removed plots. Also, amylose cont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cropping patterns.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was improved by applying the barley straw; soil porosity was higher and content of organic matter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of Ca increased but those of Mg and K did not differ.

저자
  • 신상욱(영남농업시험장)
  • 박성태(영남농업시험장)
  • 황정동(영남농업시험장)
  • 황동용(영남농업시험장)
  • 김상열(영남농업시험장)
  • 문헌팔(영남농업시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