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장기 무경운 벼 생산체계에서 토양의 이화학성, 쌀 수량 및 도정형질의 변화 KCI 등재

Changes in Physicaochemical Properties of Soil, Yield, and Milling Quality of Rice Grown under the Long-term No-till Rice Syste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60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이 시험은 논을 무경운으로 15년간 관리한 상태에서 토양의 변화, 벼 수량구성요소와 수량 및 미질을 경운답에서의 그 것과 비교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층의 형성정도를 보면 11년간 무경운상태로 관리한 논은 토양 상층에 5cm정도의 유기물층이 형성되었으며, 이 층에 유기물을 비롯한 양이온과 인산이 집적되었다. 2. 무경운답의 작토층은 경운답의 작토층에 비하여 유기물함량은 높으나, pH와 양이온, 인산의 함량이 낮았으며, 가비중과 고상의 비율이 높은 반면 액상과 기상의 비율은 낮았다. 3. 경운답은 표토는 매우 부드러우나 토심 5cm정도부터 급격히 단단해 지는 것에 비해 무경운 1년답에서는 표토가 매우 단단하였으나, 무경운으로 관리하는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표토는 물론이고 경반층 이하에서도 부드러워졌다. 4. 수량구성요소와 수량을 보면 입수, 등숙률, 천립중 다같이 경운방법간에 비슷하였으며, 수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또한 무경운 연속재배에 따른 수량의 변화패턴은 일정한 경향을 볼 수 없었다. 5.쌀의 도정 및 품위특성을 보면 무경운답과 경운답에서 생산된 쌀간에 차이가 없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differenc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grain yield and milling recovery ratio and grain appearance of rice grown in long-term no-till and ordinary till systems. The paddy in no-till rice system was unploughed but straw-mulched for 15 years from 1988 to 2002 at the Experimental Paddy of Gyeongnam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while the paddy in ordinary till system was ploughed and puddled every crop year, A 5cm organic layer was formed in 11-year no-till rice system, in which exchangeable cation and phosphate were accumulated. In no-till paddy organic matter, bulk density and solid phase of surface soil significantly increased, while pH, exchangeable cation, phosphate, liquid and gaseous phase decreased. Tillage made the very top soil soft, but made deep soil below 5cm significantly hard. In the 1st year of no-till, topsoil showed hard, but in the process of the time in no-till system, the top- and sub-soil showed softer, Yield and yield components of rice showed no differences between till- and no-till rice systems. Milling recovery ratio and grain appearanc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no-till and till-rice systems.

저자
  • 홍광표(경상남도농업기술원)
  • 김영광(경상남도농업기술원)
  • 정완규(경상남도농업기술원)
  • 손길만(경상남도농업기술원)
  • 송근우(경상남도농업기술원)
  • 최용조(경상남도농업기술원)
  • 최진룡(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