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BA 처리시기에 따른 콩나물의 생장과 처리비용 분석 KCI 등재

Effect of Benzyladenopurine Treatment Time during Imbibition on Growth of Soybean Sprouts and its Cos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60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콩나물 세근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주로 BA가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종자의 수분 흡수형태를 기초로 BA 처리시기가 콩나물의 발아와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BA의 처리량을 경감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고자 실시하였다. 건조 원료콩을 BA 4 ppm 용액에 침종 첫 5.5시간, 두 번째 5.5시간, 이를 합한 11시간 침종시켜 6일간 콩나물로 재배한 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종자의 수분흡수는 침종 후 5.5시간까지 급격히 일어났으며 그 이후에는 현저히 둔화되는 형태를 보였다. 2. 하배축 길이가 4cm 이상의 콩나물 비율은 첫 5.5시간 또는 총 11시간 침종한 것에 비하여 두 번째 5.5시간 동안 BA를 처리할 경우 증가되었다. 3. BA처리시기 및 장단에 관계없이 세근은 발생되지 않았다. 그러나 하배축과 뿌리 길이는 첫 5.5시간 또는 두 번째 5.5시간 BA를 처리한 것에 비하여 이를 합한 총 11시간 BA를 처리할 경우 짧아졌던 반면, 하배축과 hook 직경은 굵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자엽의 생체중을 제외한 여타 생체중과 건물중은 첫 5.5시간, 두 번째 5.5시간, 이를 합한 총 11시간의 BA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5. BA 처리시기가 콩나물의 발아와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보다는 BA처리비용에 커다란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어 BA는 흡수가 완만한 두 번째 5.5시간에 처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Benzyladenopuyine (BA) commonly used for soybean sprout production is of high price.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BA treatment time during seed imbibition on growth and development of soybean sprouts and to analyse its treatment cost. The soybean seeds of 4 cultivars were soaked in 4 ppm BA solution during the first 5.5 hour imbibition (EFHI), the second 5.5 hour imbibition (SFHI) immediately after 0.5 hour aeration, or whole 11.0 hour imbibition (WFHI) intervened by aeration. On the 6th day after culture, the soybean sprouts were classified into 4 categories on the base of hypocotyl length; > 7cm, 4 to 7cm, < 4 cm and not germinated, and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s, fresh and dry weights were measured. Water absorption of the seeds was sharply reduced after it was almost done for the first 5.5 hours. The percentage of sprouts with hypocotyls of longer than 4cm was higher in FFHI treatment than in the other two ones. Regardless of BA imbibition time and periods, the lateral roots were not observed. WFHI treatment showed shorter hypocotyl and root lengths but thicker hypocotyl and hook diameters than FFHI and SFHI treatments. All component fresh and dry weights except cotyledon fresh weight were nearly same. Treatment cost of BA was the lowest in SFHI treatment. It is concluded that BA treatment during SFHI is the best time because its treatment time did not affect sprout growth but its treatment cost.

저자
  • 강진호(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전병삼(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이상우(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정종일(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심상인(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