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보리 품종의 한발저항성과 생리적 지표와의 상관 KCI 등재

Relationship between Drought-Tolerance and Physiological Parameters in Korean Barley Genotyp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66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본 실험은 한국 재배종과 재래 수집종을 포함하는 36개 보리 품종을 공시하여 비가림 플라스틱 하우스의 포장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대조구는 전 생유기간에 걸쳐서 토양 수분 포텐셜이 -0.05㎫이 유지되도록 관개를 하였고, 한발 처리구는 월동 후 재생기부터 수확기까지 곤개를 하지 않았다. 한발 처리구의 토양 수분 포텐셜은 최저 -0.29㎫까지 저하하였고 처리기간 중 평균은 -0.15㎫이었다. 처리에에 따른 생장,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 잎의 상대수분함량(RWC), 삼투포텐설(OP), 삼투조정(OA), 13C discrimination(A), 등의 변화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공시한 품종 중 한발 처리에 따른 건물 중과 수량 저하 가 작아서 한발 저항성이 강한 품종은 동보리1호. 찰보리, 창영재래, 삼도보리, 월성87-31 등이었으며, 상록보리 , 송학보리, 수원맥360 등은 한발저항성이 낮았다. 2. 건물중 및 수량의 한발피해지수(한발처리구/대조구 비)와 한발조건하 RWC와는 높은 정의 상관이, 한발조건하 OP 및 OA는 매우 높은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대조구의 δ 와는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3. OP δ 및 RWC의 한발지수(한발처리구/대조구 비)는 건물중, 천립중 및 수량의 한발피해지수와 매우 높은 정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 4.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한발 저항성이 큰 품종은 삼투 조정능력이 커서 잎의 수분함량을 높게 유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한발 처리 조건에서 OP와 RWC는 보리의 한발저항성 선발지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δ 와 한발 저항성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서는 백수발생시 평균 3.4-7.0cm, 부분퇴화가 4.2-5.2cm, 퇴화가 0.4-5.4cm, 줄기 고사가 0.4-0.6cm로 차이를 보였다. 제1절간장은 보리, 밀 각각 0.3-8.4cm, 0.2-24.2cm로 신장정도에서 저온에 따른 변이를 보였고, 지엽-이삭간 거리도 보리 -2.5∼-7.4cm, 밀 -0.6-11.5cm로 신장정도에 차이가 컸다.d from a constant temperature to a temperature cycle under DD.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r/sup 01/ and tim/sup 01/ flies have a temperature-entrainable weak oscillatory mechanism. The fact that dClk/sup Jrk/ and cyc/sup 01/ flies did not show any sign of the endogenous oscillation suggests that the per-less oscillatory mechanism may require CLK and CYC.out to investigate the reactants between cement hydrates and chemical ions and some crystalline such as gypsum ettringite and Fridel′s salt were confirmed.ng for others, 3. Virtue of "forgiveness other′s mistakes"(from 3.32 to 3.65 for experimental group and from 3.33 to 3.25 for comparison group) in domain of kindness, concession, forgiveness, and virtue of "volunte

Thirty-six barley varieties including Korean modern and local varieties were tested for drought-tolerance in the field of plastic rain shelter, Drought treatment was initiated at initial tillering stage (March 27, 2002) by withholding irrigation and lasted until harvest. Soil water potential maintained at around -0.05㎫ in the control plot and varied from -0.05㎫ (at the initial stage of drought treatment) to -0.29㎫ in the drought treatment plot. At forty days after drought treatment, relative water content (RWC), osmotic potential (OP), osmotic adjustment (OA), and 13~textrmC discrimination (δ ) were measured and then plants were sampled for leaf area index (LAI) and dry weight (DW). Barley was harvested at maturity for determining DW, grain yield, 1000 grains weight and number of spikelet. The tested varieties revealed wide spectrum of drought tolerance. Dongbori-1, Chalbori, Changyeongjaerae, Samdobori and Weolseong 87-31 showed strong drought-tolerance while Songhagbori and Suwonmaeg360 showed weak drought-tolerance. The drought injury indexes (drought/control ratio) of DW and yield reveal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leaf RWC in drought treatment plot and δ in the control plot, but obvious negative correlation with leaf OP and OA under drought condition. In addition, all the drought indexes of OP, δ and RWC showed obvious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drought injury indexes of DW, 1000 grain weight and yield. Thus, OP and RWC under drought condition and δ under well-watered condition would be used as the evaluation criteria for drought- tolerance of barley genotypes. However, further investigation is neede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δ and drought-tolerance as the other reports were not consistent with our result.

저자
  • 부금동(서울대학교 식물생산과학부)
  • 백남천(서울대학교 식물생산과학부)
  • 김정곤(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
  • 이변우(서울대학교 식물생산과학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