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사유도물질 처리에 의한 발아녹두의 아이소플라본 생합성 양상 KCI 등재

Manipulating Isoflavone Levels in Mungbean Sprouts by Chemical Treatm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75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발아 녹두에 세 가지 스트레스 관련 화합물 salicylic acid, methyl jasmonic acid, acetyl salicylic acid를 처리하여 isoflavone의 생합성양상을 관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숙주나물의 자엽에서는 isoflavone총량이 건조중 1g당 832.5ug 인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10mM salicylic acid를 처리한 경우 169~% , 12mM acetyl salicylic acid로 처리한 경우 165~% 의 isoflavone 총량이 증가한 반면 0.5~% methyl jasmonic acid를 처리한 경우는 오히려 무처리구보다 47~%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2. 숙주나물의 자엽하부(hypocotyl and root)의 isoflavone 생성량에서는 1g당 284.8ug 이 생성된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세 가지 처리 모두에서 유의성이 있는 차이를 보였다. 10mM salicylic acid 처리구의 경우 419~% , 12mM acetyl salicylic acid 처리구의 경우 401~% 의 isoflavone 총량의 증가를 보였고, 0.5~% methyl jasmonic acid처리구의 경우에는 121~% 증가하였다. 3.숙주나물의 자엽부위와 자엽하부에서 검출된 isoflavone의 합을 각 처리별 isoflavone생산총량으로 하여 무처리구의 건조중 1g당 1117.3ug 을 기준으로 비교하여보면 건조중 1g당 10mM salicylic acid 처리구에서는 2601.02ug 으로 233~% 증가하였고, 12mM acetyl salicylic acid 2514.4ug 으로 225~% 증가한 반면, 0.5~% methyl jasmonic acid 처리구에서는 738.8ug 으로 66~%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4. 숙주나물 자엽부위의 경우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증가를 보였던 10mM salicylic acid처리구와 12mM acetyl salicylic acid 처리구에서는 malonyldaidzine과 malonylglycitin이 증가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5. 숙주나물 자엽하부의 경우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증가를 보였던 10mM salicylic acid 처리구와 12mM acetyl salicylic acid 처리구에서는 malonylglycitin의 증가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We have studied physiological responses of mung bean sprout to the treatment of elicitors. Chemicals such as salicylic acid and methyl jasmonic acid are not only the intermediates found in plant defense system but also could affect plant secondary metabolism. We found that mild treatment of salicylic acid and acetyl salicylic acid (aspirin) increase isoflavone production dramatically in mung bean sprout which has very low level of isoflavones compared with soybean sprout. The isoflavone content in salicylic acid treated- and acetyl salicylic acid treated-mung bean sprout was about 2.3 and 2.2 time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respectively. However, the increasing patterns of isoflavone in cotyledon and hypocotyl and root were not identical. The major increase among isoflavone fractions in cotyledon was led by the increase in malonylglycitin and malonyldaidzin level. Whereas, the increase in hypocotyl and root was led by malonyldaidzin. Methyl jasmonic acid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mung bean sprout. With this result, we were able to propose the non-transgenic method, which can control the isoflavone production in germinating mung bean

저자
  • 이지현(건국대학교)
  • 정일민(건국대학교)
  • 박세준(작물과학원)
  • 김욱한(작물과학원)
  • 김소연(건국대학교)
  • 김진애(건국대학교)
  • 정우식(건국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