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내 육성 콩 품종의 논 재배에 따른 생육반응과 수량성 KCI 등재

Growth and Yields of Korean Soybean Cultivars in Drained-Paddy Fiel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78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논 재배에 적합한 콩 품종을 선발코자 황금 콩 등 국내 육성 37개 콩 품종을 공시하여 품종간 생육반응과 수량성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토양수분함량이 높은 논에서의 콩 재배 시 생육단계별 콩 품종별 주요형질의 생육반응은 매우 다양한데, 특징적인 생육반응은 초기생육이 지연되거나 지하부의 발달이 늦은 반면 지상부가 과번무하여 T/R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품종간 수량성에 있어서도 팔도콩이 134kg/10a 그리고 도레미콩이385kg/10a 차이가 매우 컸다. 2. 생육초기인 V5 stage와 개화성기인 R2 stage의 엽면적은 지상부 및 지하부 건물중과 각각 고도의 상관관계 (r=0.46**~~0.91**) 를 보였으며, T/R율의 경우 V5 stage에는 지하부 건물중과 부의 상관관계(r=-0.37*) 를 보인 반면 R2 stage에는 엽면적(r=0.46**) 과 지상부 건물중(r=0.65**) 과 유의성 있는 상관 관계가 성립되었다. 3. 수량성은 100립중과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등숙율 포함한 V5 및 R2 stage에서 조사된 다른 형질과는 유의성 있는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4.농업적 주요형질의 생육반응을 기초로 군집분석 한 결과 공시품종들은 크게 3개 군으로 구분되는데,동일 군의 품종들은 생육습성 등 유전적 유사성은 높았으나 수량성은 다양하였다. 5. Group 1에는 새올콩등 9품종이 포함되는데, 생육초기부터 개화성기까지의 생육이 늦은 반면, T/R율이 낮고 등숙이 양호하여 평균 257kg/10a의 수량성을 보인다. Croup 2는 팔도콩 등 12품종이 포함되는데, 지상부의 생육이 과번무하여 T/R율이 높고 등숙이 불량하여, 평균 230kg/10a의 수량성을 보였다. Croup 3에는 진품 콩 등 16품종이 포함되는데, 대부분 중만생종이며, V5~~R2 stage의 생육이 왕성하고 T/R율은 비교적 낮고, 등숙울 또한 비교적 높아 평균 수량성이 270kg/10a로 가장 높았다. 6.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Group 3에 속하는 품종 또는 301~~385kg/10a 의 높은 수량성을 보이는 신팔달콩2호, 소호콩, 도레미콩, 금강콩, 부광콩, 다장콩 및 검정콩2호 등의 품종을 선별하여 재배한다면 논의 적정 경지면적 유지에 의한 국내 쌀 수급안정 및 안정적인 콩 자급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With various Korean domestic soybeans, growth and yields analysis were conducted to select the suitable soybean cultivars for cultivation in paddy field. Distinctive aspects of the soybean growth were observed in paddy field such as retarded growth of top plants and roots, relatively higher T/R ratio followed by overgrowth of top plant. However, growth and yield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cultivars showing 134kg/10a in Paldokong and 385 kg/10a in Doremikong. At V5. and R2 stage, highly positive correlations (r=0.76**~~0.91**) were observed between leaf area and dry weight of top plant and/or root. T/R ratio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ry weight of root (r=-0.37*) at V5 stage, whil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leaf area (r=-0.37**) and dry weight of top plant (r=0.65**) at R2 stage. Among the characters, only 100-seed weigh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yield. Considering the growth characters, 37 cultivars could be included in 3 different groups and genotypic properties such as maturity and growth habit were similar in each group. Nine cultivars in group 1 showed retarded growth from V5 to R2 stage, relatively lower T/R ratio, and good seed ripening. Average yields of the cultivers was 257kg/10a. In group 2, 12 cultivars showed higher T/R ratio due to overgrowth of top plant and lowest average yields (230 kg/l0a) due to poor seed ripening. Sixteen cultivars in group 3 grew fast from V5 to R2 stage representing late maturity traits, low T/R ratio, and good seed ripening. Average yields of the cultivars was highest among groups showing 270kg/l0a. In results, stable self-sufficiency of soybean yields could be expected by selective cultivation with high yielding cultivars ranging from 301 to 385kg/10a, such as Shinpaldalkong 2, Sohokong, Doremikong, Keumkangkong, Bukangkong, Dajangkong, and Geomjeongkong 2, or with cultivars included in group 3.

저자
  • 김용욱(동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식물자원학과)
  • 조준형(동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식물자원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