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외관 기호도에 의한 쌀의 색택 및 형태관련 특성 KCI 등재

Color Appearances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Rice According to the Visual Accepta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92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쌀의 외관 기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몇가지 관련 특성을 검토하고 이들의 상호관계를 구명함으로써 쌀 외관품질의 등급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국내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는 자포니카 44품종 쌀에 대한 외관기호도와 관련 특성을 조사 및 평가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쌀의 색기호도는 외관품질(r=-0.897) 및 적색도(r=-0.893)와 유의한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2. 외관품질(적색도×황색도)은 색에 의한 쌀 외관의 등급화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3. 쌀의 모양에 대한 기호도는 입폭(r=0.527)과 입의 크기(r=0.454)가 유의한 정 상관을 나타내었다. 4. 쌀의 외관에 대한 기호도의 군집분석결과 5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으며 그룹별 품질은 외관품질, 입폭 및 입크기 등에 의해 품질등급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the acceptance test influenced by som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and may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on rice grade of appearance quality as distinguished the numerical values. Forty-four Japonica rice varieties mainly cultivated in Korea were evaluated for a consumer acceptance test. Color preferences of rice were highly correlated with appearance quality (r=-0.897**) and redness (r=-0.893**). Especially, appearance quality value resulted from interaction of redness~timesyellowness values was expected as a specific character used for grade of rice appearance. Shape preferences of rice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grain width (r=0.527**) and grain size (r=0.454**). Result of the consumer acceptance test of rice appearance conducted through a cluster analysis revealed five groups. Our study suggests that it may be feasible to be graded by average of quality character among groups, grain width, and grain size in Duncan's multiple range test.

저자
  • 송진(작물과학원)
  • 천아름(작물과학원)
  • 김선림(작물과학원)
  • 김덕수(작물과학원)
  • 손종록(작물과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