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이면교잡에 의한 참깨의 탈립성 및 생육형질의 유전변이와 조합능력 KCI 등재

Genetic Variance and Combining Ability of Shattering and Growth Characters by Diallel Crosses of Sesam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92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참깨는 무한화의 특성을 지니고 있어 수확시 필연적으로 미등숙 종실의 발생과 탈립으로 인한 수량 손실이 발생하는 등 재배상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야기하는데, 현재 개발되고 있는 내탈립성 참깨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새로 개발된 내탈립성 참깨와 기존품종들 간의 이면교잡을 실시하여 탈립성을 포함한 주요양적형질에 대한 잡종강세 및 조합능력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탈립율은 모든 조합에서 탈립율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잡종강세가 작용하였으며 PA형(수원195호)/ID형(SIG960320-5-1-1) 조합에서 가장 컸는데, 이는 탈립 저항성과 관련된 형질이 모두 열성으로 F1 세대에서는 그 특성이 발현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2. 잡종강세 발현은 주당삭수, 주당수량 및 분지수 등에서 컸으며, 경장과 착삭부위장에서는 적게 나타났다. 3. 일반조합능력(GCA)은 6개 형질 모두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특정조합능력(SCA)에서는 탈립율, 주당삭수 및 주당수량에서 유의성을 보였다. 4. 모든 형질에서 GCA분산이 SCA 분산보다 커서 상가적 유전자 작용의 효과가 더 큰 것으로 추정되었다. 5. 교배친의 GCA 검정에서 수원195호는 탈립율과 경장의 감소효과가 크고 주당삭수와 주당수량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SIG96320-5-1-1은 주당수량 감소와 경장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교배조합별 SCA는 양백깨/수원195호 조합은 주당삭수 증대면에서, 안산깨/SIG96320-5-1-1 조합은 주당수량 증대면에서, 안산깨/수원177호 조합은 탈립율 감소면에서 가장 큰 효과를 나타냈다.α-amylase 활성을 고려한 적정 종자수분 함량은 단옥수수는 15%, 초당옥수수는 12%이었다.미관련(食味關聯) 미질특성(米質特性)을 이용한 토요식미치 추정(推定) 중회귀식(重回歸式)에 채택(採擇)된 주요 특성은 단백질함량, 알칼리붕괴도 및 최저점도(最低粘度)였으며 결정계수(決定係數)로 보아 약 49%의 적중율(的中率)을 나타내었다. 생물학적 기능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V는 앞으로 바이러스와 기주의 다양한 상호관계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병원학적 성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300℃ 이하, 공정압력 1 Torr, 그리고 bias전압과 기체 혼합비를 변화시키면서 증착하였다. 증착시 in-situ OES 분석결과 플라즈마 내의 질소종의 함유량 변화에 따라 증착속도가 크게 변화됨을 알 수 있었고, 많은 질소기체를 인입하면 질소종이 많아지지만 증착률은 급격히 감소하였고 박막내 탄소의 함량이 커지면서 막질이 비정질로 바뀌고 미세경도 또한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in-situ 플라즈마 진단분석이 전체 PEMOCVD 공정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하고, Ti(C,N)과 Hf(C,N) 코팅막의 탄소함량과 미세경도는 플라즈마내의 CH과 CN radical종의 세기에 크게 의존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Hf(C,N) 박막의 경우도 Ti(C,N) 박막의 경우와 유사하게 최대 미세경도값(2460Hk0.025) 이 -600 V bias 전압과 10% 질소기체 혼합비를 사용한 경우에 얻어졌고, 이는 박막이 주로(111) 방향으로 성장됨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통해 평가한 염증세포 분

Combining ability and heterosis for F1 population obtained 5~times5 half diallel cross in sesame were estimated for six quantitative characters. The parental varieties used for diallel cross were Yangbaek and Ansan of normal type, Suwon 177 and 195 of placenta adhesion type (PA) and SIG960320-5-1-1 of indehiscent type (ID). PA and ID type are shattering-resistant sesames and Yangbaek and Ansan are shattering sesames. The high heterosis of F1 hybrids was expressed in the number of capsules per plant (NC), grain yield per plant (GY) and number of branches per plant (NB). Shattering.ate (SR) showed high positive heterosis toward increase of seeds shattering in all the combination of F1 generation which was presumed because the characters connected with shattering resistance of seeds were governed by recessive gene. At the analysis of combining ability, highly significant general combining ability (GCA) effects were observed on all the characters in F1 generation, significant specific combining ability (SCA) effects were observed on the NC, GY and SR. GCA variances were greater than SCA variance, which suggested that additive gene effects were greater than other nonadditive gene effects. Considering the estimated GCA effects, Suwon 195 (PA type) was found to be good parent for SR and GY, SIG960320-5-1-1 (ID type) was poor for GY and plant height. SCA effect for NC was great in Yangbaek/Suwon 195, SCA for GY was great in Ansan/SIG960320-5-1-1, and SCA for decrease of SR was great in Ansan/Suwon177

저자
  • 성낙술(작물과학원)
  • 이성우(작물과학원)
  • 박장환(작물과학원)
  • 심강보(영남농업연구소)
  • 강철환(영남농업연구소)
  • 김동휘(작물과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