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콩 시판 브랜드 제품의 외관 품질 평가 KCI 등재

Evaluation of External Quality of Brand Soybea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95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현재 판매되고 있는 브랜드콩 100개(장류용 콩 32개, 검정콩 45개, 약콩 17개 및 나물용 콩 6개)를 2006년에 전국의 중대형마트에서 수집하고, 대비하기 위하여 재래시장에서 판매되는 콩 10개를 수집하여 표시의 정확성과 외관 품질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브랜드콩의 명칭은 영양성, 친환경 또는 친근감을 느끼는 용어와 함께 장류용 콩은 백태와 황태, 검정콩은 검정콩, 서리태, 늦서리태, 흑태, 청태, 속청, 속태, 그리고 약콩과 나물용 콩 등으로 다양하게 표기하였다. 2. 시판되는 콩의 판매단위는 1 kg 포장이 30%이고, 500 g 포장이 59%였으며, 최소포장단위는 200 g이었다. 표시중량과 실중량의 편차는 70%가 ±1% 였고, 약 2/3는 실중량이 표시중량 이상으로 비교적 정확하였다. 3. 상품에 무농약 농산물로 표시된 것이 6개였고, 특품 또는 상품으로 표시된 것이 9개였으나 외관 품질과는 관계가 적었다. 4. 상품화되어 판매되는 콩의 100립중 범위는 장류용 콩이 23.7~47.8g , 검정콩은 21.9~44.5g 그리고 약콩과 나물용 콩은 9.5~15.0g 이었다. 장류용 콩과 검정콩은 100 립중 범위가 비슷하였으나 장류용 콩은 29 g 이하가 63%인데 비하여 검정콩은 78%가 30 g이상으로 검정콩이 대체적으로 굵었다. 5. 장류용 콩과 검정콩을 크기 6.70 mm 체로 선별하였을 때 남는 콩의 비율은 평균과 최대치가 각각 87.4%와 86.5% 및 99.9%와 99.5%로 비슷하였으나 최소치는 각각 70.7%와 14.4%로 차이가 컸다. 콩의 100립중과 6.7mm 체로 선별하여 남은 콩의 비율은 유의한 정의 상관(각각 0.7488**과 0.7874**)이 있었다. 6. 종실의 100립중이 30 g 이상인 것들은 선별 비율이 90% 이상으로 차이가 작고 종실의 크기가 균일하였으나, 30 g 이하인 것들은 100립중이 낮을수록 선별되는 비율이 낮아 균일도가 떨어졌다. 7 제색(臍色)과 종실의 형태에 의하여 종실의 혼입여부를 조사한 결과 수집 브랜드콩의 76%는 10% 이상 서로 다른 종실들이 혼합되었는데, 장류용 콩은 90% 이상 혼입되어 검정콩 또는 약콩과 나물용 콩에 비하여 혼입율이 높았다. 8. 상품의 20%에 돌, 포대조각, 나무 조각, 곤충의 유충, 균사, 이종 콩 종자 등과 같은 이물질이 섞여 있어 상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9. 브랜드콩의 용적중은 762 g L1였고, 645~820gL1의 범위로 변이가 컸으며, 장류용 콩이 747gL1로 가장 낮았고, 약콩이 758gL1로 가장 높았다. 10. 재래시장에서 구입한 콩과 브랜드콩은 100립중, 정립율, 이물질 함량, 용적중 등 품질 평가 기준에서 차이가 없었다.

Although high nutritional values and continuous identification of important functional substances of soybean [Glycine max (L.) Merrill.] promote consumption of soybean products worldwide, informations on quality of brand soybean is not enough for consumers. Total of 100 brand soybeans [32 for soypaste and source, 45 black testa (lage), and 17 black testa (small) or medicinal soybean and beansprout soybean] were collected at supermarkets and several external quality factors were analyzed. Brand soybeans were marked with the environmental friendly and intimating words along with soybean (white or yellow), black soybean (black-, frost-, late frost-, green or inner-green-), medicinal soybean and beansprout soybean. Among 100 brand soybeans 30% was 1 kg package and 59% was 500 g package, difference between printed and actual weights of 70% brand soybeans was ~pm1% and weights of 2/3 of brand soybeans were higher than printed weight. Range of 100 seed weights of soypaste and source, black testa (large) and black testa (small) and beansprout soybeans were 23.7~47.8g , 21.9~44.5g and 9.5~15.0g , respectively. Although ranges of 100 seed weights of soypaste and source and black testa (large) soybeans were similar, 63% of soypaste and source were less than 29 g, while 78% of black testa (large) soybeans were higher than 30 g. Although average and highest percentages of seeds separated with 6.7 mm sieve were similar with 87.4% and 99.9% for soypaste and source soybean and 86.5% and 99.5% for black testa (large) soybean, respectively, the lowest percentages were 70.7% for soypaste and source soybean and 14.4% for black testa (large) soybean. When 100 seed weight was greater than 35 g, 90% of seeds were remained on 6.7 mm sieve. On the other hand 100 g weight and percentage of seeds remained on 6.7 mm sieve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r=0.7488** for soypaste and source soybean and r=0.7874** for black testa (large) soybean when 100 seed weight was 20~30g . Based on hilum color and/or appearance, 76% of brand soybeans collected (more than 90% in yellow testa soybeans) were found to be mixed more than 10% with other cultivars or landraces. Foreign materials such as sand, piece of clothe, wood piece, dead insects, other soybeans were found in 20% of brand soybeans. Average test weight of brand soybeans was 762g L-1 with a range of 645~820g~;L-1 . Soybeans from local markets were as good as brand soybeans in 100 seed weight, uniformity of seeds, weight of foreign materials and test weight.

저자
  • 정승근(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 우선희(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 김홍식(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