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벼 유묘활력의 품종 변이와 간접 선발을 위한 초기생육 지표형질 탐색 KCI 등재

Genotypic Variation of Early Growth Vigor and Indicator Traits for its Indirect Selection in Ri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98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유묘활력(early growth vigor, EGV)은 초기 생장의 빠르고 늦음을 나타내는 특성이다. 유묘활력의 품종간 변이 및 관련형질간의 상호관계를 검토하여 유묘활력 간접선발지표를 찾고자 2003년 한국품종, 중국품종, IRRI품종 등 총 140개 품종을 대상으로 플라스틱하우스에서 시기를 달리하여 저온기와 고온기 2회, 봄철 보온절충 못자리에서 1회 등 총 3회에 걸쳐서 EGV 및 그 관련 형질 들을 조사하였다. EGV는 파종 후 일정시기가 지난 후에 측정한 생장량(건물중 또는 엽면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생육초기 엽폭과 엽장으로 정의되는 EGV 관련형질은 배와 종자의 무게와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히 3엽장의 유전변이는 종자무게의 유전변이에 의해 90%이상 설명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종자무게는 초기활력이나 그 관련형질에 크게 영향하기 때문에 유묘활력에 미치는 종자 무게의 영향을 제거하고자 종자무게와 유묘활력 및 관련요소들의 직선적 또는 지수적 관계(식)로부터 종자무게의 영향을 배제한 유묘활력 및 관련 형질의 값을 계산하였다 종자 무게의 영향을 제거한 보정 유묘활력(EGVA)과 그 관련형질들도 품종간 큰 변이를 나타내었다. 생육초기 잎들의 엽폭 및 엽장은 EGVA와 높은 유전상관을 보일 뿐만 아니라 높은 광의의 유전력을 보였다. 생육초기잎들의 엽폭(2엽의 90%, 3엽의 93%)이나 엽장(2엽의 87%, 3엽의 89%)의 광의의 유전력은 EGVA의 광의의 유전력 81%보다도 높았다. 따라서 생육초기 잎인 제2엽과 3엽의 엽장 및 엽폭은 EGV를 간접적으로 선발할 수 있는 지표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Early growth vigor(EGV) is one of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that may contribute to the increase of genetic yield potential and radiation use efficiency by closing the canopy earlier. To estimate the genotypic variation of EGV, deter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related traits, and identify the rapidly growing genotypes and indirect indicator for selection in breeding program, the evaluation of EGV and EGV-related traits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140 rice varieties consisting of 101 Korean, 25 Northern China and 14 IRRI-bred rice varieties in a serial sowing experiment in plastic rain shelter and plastic-covered nursery bed in 2003. EGV defined as the amount of leaf area and/or dry weight produced early in the season and the EGV-related traits such as length and breadth of the 2nd~;and~;3rd leaves showed high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embryo and seed weight. Especially, the genotypic variation in the length of the third leaf was explained over 90% of genotypic variation in the seed weight. Owing to a large effect of seed size on EGV and its related traits, vigor measurements were adjusted based on their linear or exponential relationships with seed weight for excluding the seed weight effect. EGV and its related-traits adjusted for seed weight also showed big variation among genotypes. Increased EGV was genetically correlated with increases in breadth and length of early leaves. The broad-sense heritability for EGV was significantly high(81%), but lower than those of leaf breadth(90% for the 2nd leaf and 93% for the 3rd leaf) and length(87% for the 2nd leaf and 89% for the 3rd leaf). Significantly positive genetic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EGV and the breadth and length of early leaves. The high heritability of early leaf breadth and length coupled with their strong genetic correlation with EGV indicated that the breadth and length of the 2nd~;and~;3rd leaf would be used as good indirect indicators for EGV selection in rice breeding program.

저자
  • 付金東(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생산과학부) | 부금동
  • 이변우(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생산과학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