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배수등급이 다른 논토양에서 2년생 인삼의 품종별 생육 및 진세노사이드함량 차이 KCI 등재

Varietal Difference in Growth Response and Ginsenoside Contents of Two-Year-Old Ginseng Grown in Paddy Field with Different Drainage Conditio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404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논토양에서 적응하는 품종 선발과 재배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배수등급이 다른 논토양(배수 불량지와 배수 약간불량지)에서 천풍, 연풍, 황숙종, 자경종 등 4 품종을 사용하여 2년생 인삼의 생육특성 및 수량성과 뿌리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수등급에 따라 지상부 생존율과 황증 발생율은 뚜렷한 차이를 보여 배수불량지에서는 지상부 생존율이 저하되고 황증 발생율이 증가하였는데, 배수불량지에서 황숙종은 지상부 생존율이 가장 높고 황증 발생율이 가장 낮았으며, 연풍은 지상부 생존율이 가장 낮고 황증 발생율이 가장 높았다. 2. 배수불량지에서는 배수약간불량지에 비해 지상부가 일찍 고사된 관계로 주당 근중이 작고 수량성도 뚜렷이 감소되었는데, 배수불량지에서의 수량성은 자경종 > 천풍 > 연풍 > 황숙종 순으로 자경종과 천풍의 수량성이 높았으며, 배수약간불량지에는 천풍 > 연풍 > 자경종 > 황숙종 순으로 천풍과 연풍의 수량성이 높았다. 3. 적변율은 배수등급보다는 품종 간에 더 큰 차이를 보였는데, 천풍과 자경종의 적변율은 비교적 작은 반면 연풍과 황숙종은 매우 큰 특징을 보였다. 4. 근 비대가 불량했던 배수불량지는 배수약간불량지보다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가되었는데, 배수불량지에서 품종별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연풍 > 천풍 > 자경종 > 황숙종 순이었고 배수약간불량지에서는 연풍 > 자경종 > 천풍 > 황숙종 순으로 배수조건에 관계없이 연풍이 가장 높고 황숙종이 가장 낮았으며, 천풍과 자경종은 서로 비슷하였다.

To select adoptable varieties in paddy soil with relatively high content of soil moisture,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ginsenoside content of two-year-old ginseng was investigated in paddy soil with two types of drainage conditions such as poorly and imperfectly drained class, using 4 varieties, Cheonpoong (CP), Yeonpoong (YP), Hwangsookjong (HS) Jakyeongjong (JK). The ratio of survived plant in poor drainage conditions was higher than that in imperfect drainage conditions, and the ratio of discolored leaf in the former was lower than that in the latter. The ratio of survived plant was highest in HS, while lowest in YP. The ratio of discolored leaf was lowest in HS, while highest in YP among 4 varieties. Root weight per plant and yield were more distinctly decreased in poor drainage conditions than those in imperfect drainage conditions. Descending order of yield in poor drainage conditions was JK, CP, YP and HS, while CP, YP, JK and HS in imperfect drainage conditions. Varietal difference of rusty colored root was more distinct than that between poor and imperfect drainage conditions. The ratio of rusty colored root was relatively low in CP and JK, while high in YP and HS. Total ginsenoside content of two-year-old ginseng grown in poor drainage conditions was increased more than that in imperfect drainage conditions due to full growth of root. Regardless of different drainage conditions total ginsenoside content was highest in YP, while lowest in HS among 4 varieties, and there were no distinct difference between CP and JK.

저자
  • 이성우(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김충국(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연병열(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현동윤(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신유수(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강승원(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차선우(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