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흑조위축병이 심한 지역에서 옥수수와 수수 품종의 사료생산성 KCI 등재

Forage Protivity of Corn and Sorghum Hybrids in Rice Black-Streaked Dwarf Virus Prevalent A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483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한국초지조사료학회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초록

옥수수 흑조위축변이 심한 변화 경산에서 나병정도가 다른 7개 옥수수 품종(수원 19호, 진주옥, 수원 99호, Pioneer(P) 3160, P 3233, P3282, P3352)과 3개 수수 품종(P 931, P 947, P956)을 흑조위축병 발생이 심하지않은 4월 23일과 흑조위축병 발생이 심한 5월 20일에 파종하여 이들의 사일리지수량과 사료가치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옥수수는 수수보다 입채율이 높았고, 간장은 수수가 옥수수보

Silage productivity of 7 corn and 3 sorghum hybrids was determined at two planting dates differing in rice black-streaked dwarf virus (RBSDV) infection rates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where RBSDV is prevalent. 1. Percent stand was similar between two

저자
  • 이석순(영남대학교 농축산대학)
  • 최상집(영남대학교 농축산대학)